<앵커>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가 오르고 국가신용등급이 상향되고 있지만 여기저기서 가계부채가 위험수준에 도달했다는 경고음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가계부채가 사실상 천 조원을 넘어섰다는 분석까지 나오면서 심각한 경제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오상혁 기자입니다.
<기자>
저금리 기조속에 너도나도 은행 돈을 빌려쓰면서 서민경제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상 유례없는 초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922조원에 달한 상태.
이 때문에 가계 이자부담이 갈수록 커져 전체 가구 중 절반 이상이(62.8%) 평균 8천만원이 넘는 부채를 끌어안고 있고, 가처분 소득 가운데 20% 가까이를 원리금상환에 쓰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자 최근까지 하향안정세를 보이던 가계대출 연체율이 다시 치솟는 등 여기저기서 위험신호가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구용욱 KDB대우증권 연구원
"소득에 비해서 가계부채가 계속 늘어나는 경우가 문제가 되는 것 같고요. 부채를 감당할 능력이 떨어지게 되니까 결국 어느 순간이 되면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지가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거죠."
소비 주체의 한 기둥인 가계가 부채 위험에 빠지면 그야말로 한국 경제는 총체적 난국에 봉착할 수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경제활동의 기초가 되는 가계부문의 부실은 개인 경제는 물론이고 가계대출을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금융기관의 동반부실과 정치·사회적으로 불안요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문제는 부동산입니다.
빚을 내 부동산을 구입한 가구의 가계 부채가 크게 증가했지만 거래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자 자금이 묶여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의 해결책으로 하우스푸어가 보유한 부동산을 매입해 재임대하는 '자산유동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인터뷰> 구용욱 KDB대우증권 연구원
"부동산 투자를 위해서 부채가 늘었다는 점 때문에 시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유동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 같고요. 유동화를 시키게 될 경우에는 아무래도 하우스 푸어 문제도 어느정도 조정이 될 수 있고.."
우리 경제에 시한폭탄이나 다름 없는 가계부채 프레임에서 벗어나기 위한 종합처방전이 시급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오상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