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주요신문에 나온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조간신문브리핑, 먼저 한국경제신문입니다,
비과세 종료 앞둔 ‘즉시연금’ 과열
즉시연금에 시중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는 소식이 올라와 있습니다.
적용금리가 정기예금보다 1%포인트 정도 높고 비과세 혜택이 올해 말로 종료된다는 정부발표가 나오면서부터 한달새 1조원이 몰리는 등 가입자가 폭주하고 있는데요.
보험사들은 자금이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들어오자 금리를 낮추는 등 속도조절을 하고 있습니다.
가계부채 문제 연착률 가능..재정투입 상황 아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가계부채 문제가 시스템 위기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박장관은 어제 서울에서 열린 ‘벨웨더 시리즈 2012포럼’에서 한국은행 등 기관대응 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연착륙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김석동 위원장도 이날 포럼에 참석해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인한 가계부채 위험성은 충분히 시장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고 평가했습니다.
은행금융상품도 ‘특허경쟁’ 불 붙었다
시중은행들이 직접 개발한 금융상품에 대해 경쟁적으로 특허출원을 내고 있습니다.
삼성과 애플간 소송처럼 향후 생길수 있는 특허소송에 대비하자는 측면과 자신들이 개발한 상품의 독창성을 바탕으로 고객들을 유치하겠다는 전략이 맞물렸기 때문인데요.
국민과 신한, 우리, 하나 등 시중 4대 은행이 특허청에 출원한 BM특허 누적건수는 지난 2006년 141건에서 올해 6월에는 1326건으로 늘었습니다.
한진해운, 현대상선 유럽노선 줄인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성 등 해운사들이 아시아-유럽간 노선 운항을 줄입니다.
유럽 경기 침체로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물동량 부진이 지속되면서 컨테이너 운임 가격도 동반 하락할 가능성도 커졌다고 신문은 전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조선일보입니다.
중도금 ‘집단대출’ 패소··입주 예정자들 이자 날벼락
아파트 집단대출을 둘러싼 소송에서 입주 예정자들이 잇따라 패소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분양가 밑으로 집값이 떨어지자 분양 계약 취소 등을 요구하는 입주 예정자들의 소송이 이어져 왔는데요.
최근 이와 관련한 3번의 1심판정에서 법원은 건설사와 은행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자산관리공사, 쌍용건설에 700억원 지원 검토
쌍용건설의 대주주인 자산관리공사가 자금난으로 부도 위기를 맞고 있는 쌍용건설에 7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다른 채권금융기관은 유동성 지원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채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중앙일보입니다.
적금의 귀환..3조5천억 늘어 잔액 총 37조7천억원
적립식 예금에 올 들어 3조 5천억원이 유입 되면서 적금 잔액이 총 37조 7천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말보다 10% 급증한 것인데요. 반면 같은 기간 적립식 펀드에선 1조 2천억원이 빠지면서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장기화하면서 자산을 불리기보다 지키는 걸 중시하고 있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백화점 ‘불공정거래’ 손본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대형마트에 이어 백화점의 불공정거래를 강도 높게 조사하고 있습니다.
공정위는 지난 3일 신세계와 현대백화점의 판매수수료율에 대한 현장조사에 착수했는데요.
백화점 업계 빅3중 하나인 롯데백화점에 대한 조사는 이미 마무리 됐습니다.
끝으로 동아일보입니다.
깡통주택 18만5천가구 ‘빚 58조’
집을 팔더라도 대출금이나 세입자 전세금을 다 갚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주택이 18만5천가구에 달한다는 소식입니다.
동아일보가 KB금융경영연구소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전체 가구의 3.4%가 전세금과 대출이자가 집값의 8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에 따라 아파트 값 하락->깡통주택 보유자 신용부도->금융권 부실->경기침체라는 악순환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1천3백곳 구조조정 저울에
최근 은행권이 신용위험 세부평가 대상 중소기업 1355곳을 선정해 금융감독원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009년 중기 신용위험 정례평가가 시작된 이 후 가장 많은 기업이 대상이 된 셈인데요
특히 올해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유동성이 더 악화돼 C등급이나 D등급을 받는 중소기업이 예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조간신문브리핑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