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거래소가 하반기부터 상장사들의 자율공시를 활성화하기로 했는데 관리감독은 여전히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호재성 공시를 냈다가 슬그머니 정정하는 일도 다반사였습니다.
이기주 기자입니다.
<기자>
수술용 의료기기 생산업체 A사는 지난 2009년, 이란의 한 대리점과 독점판매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3년 동안 최소 480만달러 이상의 이란내 판매를 보장받았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이 업체는 판매보장 내용을 슬그머니 삭제하고, 판매 규모도 90만달러나 축소시킨 정정공시를 냈습니다.
배관용접 부품업체 B사도 지난달 정정공시를 냈습니다.
일본의 한 업체와 1년전 맺은 공급계약의 규모가 20% 넘게 축소됐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하나 없이 그것도 금요일 장 마감 후에 이 두 건의 공시는 투자자들에게 공개됐습니다.
지난 7월 한달동안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자율공시는 모두 288건.
거래소의 자율공시 활성화 방침이 나온 직후였지만 여전히 '판매공급계약' 아니면 '특허권 취득'처럼 굳이 공시하지 않아도 되는 홍보성 내용이 자율공시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또 '판매공급계약' 공시의 절반 이상은 앞선 사례처럼 기존 공시를 수정하거나 축소하기 위한 정정공시였던 것으로 취재결과 드러났습니다.
이처럼 자율공시의 취지가 변질되고 있는데도 거래소는 여전히 자율공시의 이행실태 여부는 점검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한국거래소 관계자
"자율공시는 이행실태 점검이 아니라요. 시스템을 통해 공시되면 사후 공시번복 문제는 봅니다. (기자: 아~ 공시번복을 하지 않으면 그냥 달성한 것으로..) 네 달성한 것으로..."
투자자 알권리를 위해 마련된 자율공시 제도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제도의 악용을 막기 위한 당국의 조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이기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