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전자상거래 활성화 ‘온도기준'부터 마련해야

입력 2012-08-20 17:54
<앵커>석유 전자상거래 제도가 도입된 지 5개월째에 들어섰지만 일부 주유소들은 아직도 이용을 꺼리고 있는데요. 부피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기준’ 정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유기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는 지난 3월 석유시장 질서를 바로 잡겠다며 한국거래소를 통해 석유 전자상거래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석유 수입업자와 주유소 양자 간에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가격을 비교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겁니다.



5개월이 지난 지금 할당관세 등 각종 혜택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주유소들이 석유 전자상거래 이용을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경유 기준 전자상거래를 통해 거래하는 주유소는 10%에도 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석유 전자상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는 원인은 주유소를 운영하는 대부분의 업주들이 시스템 자체에 대해 잘 모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이런 가운데 ‘온도 기준’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막는 주요 원인 증 하나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인터뷰>손석원 / 서대문구 유풍주유소 소장



“전자상거래 신청은 해놨지만 이용할 지는 미지수다. 보관/수송 온도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30도가 넘는 날씨에 지상탱크에서 상온보관하다 주유소 저장탱크로 옮기면 1%가량 부피가 줄어든다. 그만큼 손해 볼 수밖에 없다.”



일반 상거래에서는 주유소가 거래하는 석유 수입업자가 거의 일정해 수송과 보관에 따른 손실분을 합의를 통해 보전하고 있지만, 전자상거래에서는 거래 상대가 매번 바뀌어 온도기준을 매번 재조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자>주유소의 평균 마진이 3% 남짓인 것을 감안하면 1%의 부피 손실은 상당한 타격입니다.



이 같은 문제점은 석유 전자상거래 참여업체 대부분이 중소수입사여서 더 크게 부각됩니다.



대형 정유사의 경우 공급 계약 시 자체적으로 온도 보정계수를 적용하거나 부피가 아닌 무게 기준으로 판매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중소수입사들은 현실적으로 온도 문제까지 신경 쓰기 어렵습니다.



<인터뷰>정유업계 관계자 (전화녹취 음성변조)



“(정유사는) 일정 온도 기준으로 보정계수 적용해 보관하는 걸로 알고 있다. 중소수입사의 경우엔 규모가 작아 온도까지 신경 쓰기는 어려울 것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거래소에서는 석유제품의 온도 문제는 거래당사자 사이의 협의로 해결해야 한다는 방침입니다.



<인터뷰>한국거래소 석유시장팀 관계자



“온도 보정계수는 당사자간의 협의로 조절해야 한다.”



정부가 석유시장 질서를 바로세우기 위해 도입했다는 석유 전자상거래.



여전히 주유소들의 호응을 전혀 얻지 못하는 불편함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시장활성화를 위한 세심한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유기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