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세계 최초의 석유현물 전자상거래 시장이 지난 30일 화려하게 개장했습니다. 고유가를 잡기 위한 정부의 또 다른 시도 가운데 하나인데요.
하지만 출발부터 삐거덕거리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이성민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고유가를 잡기 위한 정부의 의지 속에 석유현물 전자상거래 시장이 문을 열었습니다.
공개경쟁으로 투명한 거래를 유도해 뛰는 기름 값을 다잡겠다는 취지입니다.
<인터뷰>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
"지금까지 기름 값이 높았던 이유는 경쟁이 부족했던 데 있습니다. 전자 상거래를 통해서 경쟁 활성화로 석유제품 가격의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봅니다."
한국거래소도 자본시장에서 누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와 손발을 맞추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김봉수 한국거래소 이사장
"치솟는 유가에 서민들 허리가 휘는데 서민 가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정부가 내놓은 정책 중에 시의적절한 정책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 석유 거래는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입니다.
개장 이후 거래는 하루 평균 단 한 건.
초기 시장임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기대에 못 미치는 초라한 성적표입니다.
<이성민 기자>
"가장 큰 문제는 국내 정유사들의 참여가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국내 4대 정유사는 우여곡절 끝에 눈치보고 참여는 했지만 도움이 안 된다는 판단에 거래에 뛰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정유업계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석유시장을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정유사 관계자
"정유업계 자체가 경쟁이 상당히 치열한데 가격 구조에 대해 인정하지 않고 무조건 정유사와 주유소 담합이라고만 생각하시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정부는 지난해 12월 정유사들의 참여를 유인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이용 시 세금감면을 해줬습니다.
또 고유 브랜드를 달고 있는 주유소가 가격이 저렴한 타사 기름을 눈치보지 않고 살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바꿨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구속력이 없는데다 일부 정유사들의 반발이 거세 정유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오히려 중소형 주유소 사이의 과열 경쟁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마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주유소 운영자
"전자상거래는 글쎄요. 어찌 보면 더 발전된 것 같아도 아닐 수 있다는 거죠. 오히려 뒷거래가 더 활성화될 수 있는 부정적인 여론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정부와 정유업계의 엇박자속에 화려하게 등장한 석유 전자상거래 시장이 또 하나의 보여주기 정책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WOW-TV NEWS 이성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