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섬 1년 ①] 투자자 "거래정지 1년 그날만 생각하면.."

입력 2012-03-21 18:13
<앵커>



중국고섬 거래정지 1년을 맞아 한국경제TV는 거래소의 시장 제재 조치가 합리적인 수준인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거래소의 제재 조치로 고통받는 투자자들의 모습과 그 대안을 함께 고민하기 위한 기획리포트.



1년간 계속된 중국고섬 거래정지의 후유증과 이후의 과제들을 이성민, 이기주, 박진준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기자>



30년 공무원 생활을 뒤로하고 소규모 컨설팅 회사를 운영 중인 60대 김 모 씨.



김 씨는 당시 받은 퇴직금 5천여만 원을 고스란히 중국고섬 주식에 투자했습니다.



김 씨가 투자한 시점은 중국고섬의 거래정지 당일인 지난해 3월22일 오전 9시20분.



장 시작과 동시에 주가가 많이 내리는 걸 확인하고 기회라는 생각에 주식을 대량 매수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몇 분 뒤 거래정지라는 날벼락을 맞았고 1년이 지난 지금 김 씨에게 남아 있는 건 거래소와 주관증권사에 대한 원망뿐입니다.



<인터뷰> 중국고섬 투자 피해자



"아침 9시에 매수하기 전에 공시 내용을 보거든요. 그 기업에 대해서. 당시 공시 내용에 아무 내용이 없더라고요.



(피해를 본) 소액투자자들이 상심이 크고 지쳐가지고..그런 심정을 알면 한마디 얘기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런데 지금까지 아무런 얘기가 없는 거예요.



거기에 대한 책임은 거래소가 져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 씨는 오는 23일 한국거래소와 주관증권사를 상대로 한 첫 번째 재판 결과만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김 씨처럼 장기간 거래정지에 발이 묶인 피해자가 늘어나면서 거래소의 제재 조치가 지나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거래소의 제재 조치에 대한 불만은 다른 기업들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중소유통회사를 운영하는 문원국 씨는 대표 자리에 오른 뒤 다소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



꿈에 그리던 기업체 사장이 됐다는 기쁨도 잠시, 전 대표이사의 횡령 혐의를 제때 공시하지 않아 거래정지를 당한 겁니다.



결국 불성실공시법인이란 꼬리표는 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회사의 오점으로 남았고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기까지 애를 태워야만 했습니다.



<인터뷰> 문원국 엔알디 대표이사



"실제 횡령이 검찰에서는 없다고 했는데 횡령으로 기소했다는 그 자체만으로 공시를 안 했다고 공시위반으로 걸리고 상장폐지실질심사를 해야 한다고 하면 기업한테는 상당히 타격이 큰 거죠.



한화의 경우 횡령 금액이 있다 그래서 상장폐지실질심사를 바로 번복했는데 대기업이라 해서 짧은 기간 내에 결론을 내주는 게 아니라 중소기업도 기간을 짧게 해 줘야 하는데.."



시장 참여자들은 거래소의 제재 조치에 앞서 합리적이고 공평한 기준이 확립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취재진은 이 같은 투자자들과 기업체의 불만이 왜 나오는지 듣기 위해 거래소를 찾았습니다.



하지만 거래소는 여전히 단호한 입장을 갖고 있었습니다.



<인터뷰> 황호진 한국거래소 공시팀장



"제도적인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거래소는 투자자와 상장기업 입장에서 정보 형평성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도적으로 규제나 규율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상장기업과 투자자들의 신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성민 기자>



투자자를 보호하고 불건전 기업을 조기에 퇴출하는 거래소의 제재 조치는 분명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앞선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재 거래소의 조치가 다소 지나치다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인데요.



그렇다면 실제 거래소 상장 법인들은 현행 제재 강도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을까요?



이 문제는 이기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