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은행권에 대한 가계대출이 까다로워 지면서 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풍선효과'에 따른 것인데요. 당국은 계절적, 구조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 이면에는 늘어나는 가계부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묘안을 찾아야 한다는 고민이 깔려 있습니다.
최진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신용카드사와 할부금융사를 합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지난해 9월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38조2천억원 입니다.
잔액 기준으로는 카드대란 직후인 지난 2003년 3분기 이후 8년만에 최고 수준입니다. 증가율도 두 자릿수에 달해 은행 증가율을 크게 앞지르고 있습니다. 증가세가 가파르다보니 신용카드 대출의 경우 연체율도 1.8%로 금융위기 발생 직후였던 2008년 이후 3년만에 최고로 치솟았습니다.
수협과 신협 같은 상호금융회사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작년 하반기에만 이들의 가계대출금액은 10조원으로 매월 2조원 가까이 늘어난 셈입니다.
저축은행은 구조조정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11월말까지 가계대출을 1조8천억원 늘려 지난해 8천억원 수준의 2배를 이미 넘겼습니다.
당국은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어려워지면서 2금융권으로 대출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있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다만 이자가 원금으로 합산되는 상호금융의 관례나 정책자금대출이 연말에 몰리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계부채 종합대책과 신용카드산업 선진화 방안 이후에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다."면서 "집중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2금융권 대출자 가운데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출자가 다수 포진하고 있기 때문에 무조건 대출을 압박할 경우 부작용도 우려됩니다.
가계부채 증가율을 억제해야 한다는 정책의 원칙론과 현실적으로 그 묘안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현실론 사이에서 감독당국의 선택이 주목됩니다.
WOWTV NEWS 최진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