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이 늘어날수록 사망률은 오히려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16일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김태훈 서울대 경제학부 대학원생(박사과정)의 논문에서 1991~2009년 한국의 실업률과 사망률은 반비례관계입니다.
실업률이 2%에서 3%로 올라갈 때 사망률은 2.8% 감소하는 것입니다. 실업률이 4%에서 5%로 상승했을 때도 사망률이 1.8%나 줄었습니다.
미국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역시 실업률과 사망률이 음의 관계였으나 0.4~0.5%로 우리보다 훨씬 작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사회적 지출이 낮고 복지제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실업률이 낮을 때 중년 남성의 사망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고강도 업무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생활, 음주 탓에 순환기질환과 소화기 질환으로 중년 사망률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미국과 달리 고용이 늘면 자살도 증가했습니다.
이 교수 등은 "경제난 때문에 자살하는 사람이 적잖을지 모르지만, 대다수는 비경제적인 요인 때문에 자살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실업률 감소가 대다수 국민의 물질적인 생활수준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