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기업, 오너 경영권 박탈등 책임 강화

입력 2011-12-28 07:10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기업회생작업에 들어간 기업들은 대주주의 경영권 포기 등 엄격한 책임을 져야 금융 지원을 받게 될 전망이다.



2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성동조선해양에 대한 추가 자금지원을 결의한 채권단은 이 회사 대주주에 최대 100대 1의 보유주식 감자를 요구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비율로 감자가 이뤄지면 대주주가 보유한 주식은 대부분 사라져 경영권을 상실하게 된다.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면서도 경영권을 보장해줬던 전례와 180도 달라진 조치다.



채권단 관계자는 "부실경영의 책임을 엄격하게 묻으려는 것이다"고 전했다.



지난 5월 워크아웃에 들어간 진흥기업은 채권단의 강력한 요구로 최대주주인 효성이 보유주식을 전량 소각했다.



2008년 진흥기업을 인수한 후 3천억원을 쏟아부었던 효성은 돈줄을 쥔 채권단의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채권단은 효성이 진흥기업에 빌려준 대여금의 출자전환도 요구할 방침이다.



최근 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한 고려개발의 채권단도 대주주인 대림산업에 추가 자금지원 등 '고통 분담'을 제안하기로 했다.



기업 회생을 지원하는 은행들의 태도가 강경해진 것은 채권 위험이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다.



기존 기업 회생 업체인 조선소나 건설사는 대부분 중소형사였다. 그러나 건설ㆍ조선업종의 불황이 심각해진 탓에 위기에 처한 기업의 규모가 대형화했다.



성동조선해양은 수주잔량 기준 세계 8위 조선사다. 고려개발은 건설사 시공순위 38위를 차지한다. 채권단이 지원해야 할 돈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성동조선해양에 올해 2천500억원을 지원한 채권단은 앞으로 1조원 가량을 추가로 지원해야 한다. 진흥기업이나 고려개발도 대규모 자금지원이 필요하기는 마찬가지다.



이 기업들이 회생하지 못하면 은행들은 수천억원의 지원금을 모두 날려야 한다. 대주주의 '고통 분담' 없이 이러한 위험을 감수할 수 없다는 것이 은행들의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