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플러스] 강남북 달동네 '희비'‥백사마을 Vs 구룡마을

입력 2011-09-19 16:39
<앵커>

서울 곳곳에는 과거 도심개발로 밀려난 이주민들이 모여 만든 달동네들이 있습니다.

서울시가 이들 지역 재개발에 나섰는데 강남북 달동네마다 사정이 다르다고 합니다.

어떤 내용인 지 권영훈기자와 함께 살펴봅니다.

<앵커>

'달동네'라고 하면 '산 아래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으로 알고 있는데요.

아직도 서울 하늘 아래에 달동네가 많이 있나요?

<기자>

1960년대 말 서울 도심개발로 부도심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는데요.

서울 외곽 산비탈에 마을이 하나둘 생겨나면서 달동네라고 이름이 붙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달동네가 재개발되면서 지금 남은 곳은 손가락으로 셀 정도입니다.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라고 하는 노원구 중계동 '백사마을'을 직접 다녀왔습니다.

<기자 리포트-1>

서울 불암산 자락에 위치한 백사마을.

중계본동 104번지에서 유래되어 백사마을로 불리는 이 곳에 1천2백가구가 모여 살고 있습니다.

70년대 서민 생활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한 곳으로 마을을 둘러보면 옛 추억에 잠길 정도입니다.

한집 건너 한집은 빈집이고, 좁은 골목길은 대낮인데도 아이들이 지나가기가 무서워 보입니다.

<기자 브릿지>

"경사진 비탈길 주변에 낡은 집들이 촘촘히 늘어선 게 현재 백사마을의 풍경입니다. 마을은 전면철거 방식이 아닌 옛 모습을 그대로 살려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지역주민과 학계 등이 마을 보존을 주장하면서 재개발 사업이 제 속도를 못냈습니다.

서울시가 각계의 의견을 받아들여 백사마을 4분 1 정도는 그대로 놔두기로 했습니다.

기존 노후주택을 한옥으로 리모델링하고 가로를 정비해 마을 형태는 보존한다는 겁니다.

그 대신 보존구역 뒤편에 임대와 분양아파트를 지어 사업성을 맞춘다는 계획입니다.

SH공사가 리모델링과 임대주택을 건설하고, 분양아파트는 한국토지주택공사 LH가 맡습니다.

이렇게 되면 백사마을은 70년대 저층주거지와 현대식 아파트가 공존하게 됩니다.

<인터뷰 - 진희선 / 서울시 주거재생과장>

"종전처럼 재개발.재건축을 하면 전부를 쓸고 아파트를 짓는 형상이 아니라 재개발을 하더라도 지역의 정체성, 공동체가 형성된 곳은 보존하고"

백사마을 주민 대부분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 진희선 / 서울시 주거재생과장>

"최근에 처음 주민설명회를 했는데도 75%정도가 찬성하는 결과. 그 이후 지역주민, 전문가, 지방에서도 문의전화가 많이 온다. 앞으로 순조롭게 진행될 것"

서울시는 백사마을 모델을 홍제동 개미마을, 삼선동 장수마을에도 적용할 예정입니다.

학계 역시 '철거'가 아닌 '보존'형태의 재개발 방식에 대해 신선하다는 평가입니다.

하지만, 임대와 분양아파트 입주민간 사회적 소통은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 - 이주형 / 한양대 도시대학원장>

"전면철거와 보존하는 재개발 방식이 상존하는 것은 좋다. 그 속에서의 커뮤니티 공간은 서울시가 과감히 투자해야 한다. 그래야 보존지역에서 사람들이 살고, 한국의 관광명소가 되고, 전국적으로 확산될 것"

<앵커>

기존 노후주택을 철거해 획일적으로 아파트를 짓는 방식을 탈피한 게 눈길을 끄는데요.

이처럼 백사마을 재개발은 순항이 기대되는데, 그렇지 못한 곳도 있다죠?

<기자>

네. 맞습니다.

이번에는 서울 강남의 대표적인 달동네 '구룡마을'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리포트-2>

서울 대모산 자락에 자리 잡은 구룡마을.

80년대말 서울시의 빈민가 철거로 이곳에 2천5백명이 이주해 새 둥지를 튼 겁니다.

지금은 1천2백명 정도가 남아 있는데 무허가 판자촌이다 보니 주민등록을 할 수 없습니다.

<기자 브릿지>

"수도관이 지붕을 흐르는 구룡마을은 늘 화재 위험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하지만 재개발 방식을 두고 시와 마을의 입장이 서로 다릅니다."

서울시는 공영개발을, 마을 주민은 민영개발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시는 마을 절반 이상을 녹지공간으로 바꾸고, 임대주택 2천8백가구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SH공사 주도의 공영개발이 원칙으로, 개발이익 사유화를 막겠다는 이유에섭니다.

<인터뷰 - 김병하 / 서울시 도시계획국장>

"공영개발을 통해 개발이익을 공공이 취해서 이지역에 재투자하고 이 지역 거주민들이 재정착할 수 있는 기반과 열악한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도시개발 사례"

이에 대해 구룡마을 주민자치회는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구룡마을은 시유지가 아닌 사유지로, 대지주와 민영개발에 합의했다고 설명합니다.

또, 임대아파트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는 저소득층이 대부분이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 유귀범 / 구룡마을 주민자치회장>

"우리나라 공영개발은 영구임대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보증금, 임대료가 있다. 구룡마을 주민 50%는 월 100만원 이하 소득. 돈을 빌려 보증금, 월세를 내야 한다. 돈 벌어서 여기다 다 내야 한다. 내집이 아니라 빌려쓰는 임대주택이니까 선택할 이유가 없다"

강남구는 그러나 "자치회가 대지주와 협약을 맺고 제안한 민영개발 방안이 심각한 법적 하자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화 인터뷰 - 강남구청 관계자>

"도시자연공원은 손대면 안된다. 빼서 다시 민영개발을 제안해라. 도시계획법상 공원을 빼버리면 (대지주인) 요건 충족이 안되니까 정강모 씨 민영개발 제안자가 요건 충족을 못한거죠"

강남구는 또 "대지주를 제외한 나머지 109명의 지주들은 공영개발에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주민자치회는 시가 공영개발을 강행할 경우 대규모 실력 저지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앵커>

강북의 백사마을과 강남 구룡마을의 상황이 전혀 다른데요. 끝으로 정리해주시죠.

<기자>

재개발 추진과정에서 백사마을은 순항을, 구룡마을은 난항을 보이고 있습니다.

구룡마을의 경우 무허가 판자촌이라는 게 백사마을과 가장 큰 차이점인데요.

다시말해 거주민들이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렵다는 얘기입니다.

문제는 20년 넘게 주택을 점유했지만 내집마련 꿈을 포기해야 한다는 겁니다.

서울시가 백사마을에서 보여준 것처럼 구룡마을 지역주민들과 머리를 맞대야 할 때입니다.

<앵커>

권 기자,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