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MRO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야 할 동반성장위원회가 개점 휴업 상태에 들어갔습니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지난달 7일 전체회의에서 MRO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합의했지만, 한 달이 넘도록 실무위원회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박병연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MRO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겠다던 동반성장위원회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동반성장위원화는 지난달 7일 제7차 전체회의에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MRO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합의했습니다.
당시 동반성장위원회측은 7월 중 실무위원회를 구성해 늦어도 8월 안에는 가이드라인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정영태 동반성장위원회 사무총장(7월15일)
“7일날 제7차 동반성장위원회 전체회의때 실무위원회를 만들어서 토론하기로 합의했거든요. 7월 중에 구성해서 킥오프 할 거에요.”
하지만 한 달하고도 열흘이 지난 지금까지 논의는 고사하고 실무위원회조차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쉽게 납득이 안갑니다.
동반성장위원회가 이처럼 손놓고 있는 사이 삼성과 SK 등 일부 대기업들은 이미 MRO에서 손을 떼기로 했고, 조달청은 MRO 공급사를 중소기업으로 제한하기로 하는 등 상황은 급변하고 있습니다.
동반성장위원회의 실무위 구성안 자체만 보더라도 때 늦은 감이 있습니다.
현재 실무위 대기업 대표로 거론되고 있는 회사는 LG그룹의 서브원과 삼성의 아이마켓코리아, 포스코의 엔투비, 코오롱의 케이이피 등 4개사입니다.
이들 4곳은 이미 지난 6월 중소기업청의 중재로 중소기업 단체들과 사업조정에 대한 협의를 마치고 대기업과 계열사 외에는 중소기업에 대한 제품공급을 자제하기로 한 회사들입니다.
사실상 추가 협의가 필요한 곳은 17개 대기업 MRO 회사 중 이들 4곳과 사업철수 의사를 밝힌 SK와 한화 등 2곳을 제외한 11개사인데, 이들은 실무위 구성에서 배제된 상태입니다.
동반성장위원회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의견조율을 위한 민간합의기구인 만큼, 민감한 사안에 대해 합의를 도출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은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정부와 기업이 중요한 결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하고, 모양새 갖추기에만 연연한다면 존립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WOW-TV NEWS 박병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