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이상 방치돼왔던 서울의 대표적인 빈민 판자촌인 개포동 구룡마을이 SH공사 주도의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돼 아파트 2천800가구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SH공사가 구룡마을을 개발해 2016년까지 아파트 2천793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1980년대 말부터 오갈 데 없는 빈민들이 하나 둘씩 모이면서 만들어진 무허가 판자촌인 구룡마을에는 현재 1천242가구 2천53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지만 건물이 낡아 화재가 날 우려가 크고 오·폐수, 쓰레기 등 생활환경이 열악해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서울시는 25만2천777㎡ 상당의 자연녹지지역인 구룡마을을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해 기존 거주민이 재정착할 수 있는 영구·공공임대 아파트 1천250가구를 포함해 총 2천793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영구임대아파트를, 나머지 가구에는 공공임대아파트를 제공하며,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른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전용면적도 59㎡ 374가구, 49㎡ 374가구, 39㎡ 251가구, 29㎡ 251가구 등으로 세분화할 계획이다.
사업 기간에는 거주민 가구원수별로 주거이전비를 지급하고 저소득층을 위해 전세보증금 융자도 알선할 예정이다.
거주민들이 원할 경우 기존에 비어 있는 여타 지역의 임대아파트를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서울시는 이 지역을 민간에 맡기지 않고 SH공사가 주도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는 민영개발 방식으로 하면 개발이익 사유화에 대한 특혜 논란이 있을 수 있고 사업이 부진할 경우 현지 거주민의 주거 대책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데 따른 것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구룡마을과 인접한 도시자연공원은 원칙적으로 사업구역에서 제외하되 무허가 건축물로 훼손된 지역은 정비구역에 포함시켜 공원으로 조성한 뒤 기부채납하도록 했다.
사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개발이익은 공공에 재투자해 거주민들의 복지나 소득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고, 학교와 도로, 공원, 녹지 등을 충분히 조성해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주거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외부 투기세력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강남구가 현지 거주민을 대상으로 주민등록을 등재하는 계획도 진행 중이다.
서울시는 내년 3월 중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을 마치고 2014년 3월 사업에 착수해 이르면 2016년 8월께 완공할 예정이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공영개발을 통해 그동안 불편을 겪었던 거주민들이 주거비 부담 없이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