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동·아시아·아프리카 등 신흥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연구를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18일 관계부처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등에 따르면 정부는 신흥 지역에 대한 정부와 국책연구기관의 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흩어져 있는 연구기능을 한 데 모으는 가칭 ''신흥국 연구 인프라 확충 3개년 계획''을 마련해 막바지 조율 중이다.
이번 계획은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의 신흥국에 한국 기업들의 진출이 크게 늘고 있지만 정부나 민간 차원의 신흥지역 연구가 미흡해 이들 지역에서의 국익 창출을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글로벌 무대에서 신흥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날로 커지는 점을 감안, 기존의 정치·안보 중심의 지역연구 방식에서 탈피해 국책연구기관인 KIEP를 중심으로 신흥지역의 정치·경제 전반에 대한 연구기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에는 신흥국의 정치·경제·사회를 전공한 연구인력을 늘리고 관련 예산 증액, 신흥국 싱크탱크 등과의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방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정부는 특히 KIEP의 신흥지역 연구 기획·조정기능을 대폭 강화해 KIEP를 한국의 신흥지역 연구 ''콘트롤 타워''로 자리매김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정부 각 부처, 국책연구기관, 민간이 개별적으로 수집하거나 내놓은 신흥지역에 대한 정보와 연구결과물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KIEP를 통해 적재적소에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집트 민주화 시위, 리비아 사태 등 중동의 정치적 불안으로 세계경제가 크게 흔들리는 등 신흥국의 움직임에 따른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우리의 신흥국 연구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올해 초부터 신흥지역 연구기능을 강화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같은 방안을 장관급 대외경제정책 협의체인 대외경제장관회의의 안건으로 올려 구체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KIEP의 관련 기능을 확대한다는 정부 계획은 부처 간, 이해관계기관 간에 조정이 필요한 사안이라 계획의 최종조율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정부 측면의 신흥국 정치경제 연구기능은 KIEP를 중심으로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한국개발연구원(KDI), 외교안보연구원 등에 분산돼 있다. 부처 중에는 기획재정부, 외교통상부, 지식경제부 등이 포함돼 있다.
정부 관계자는 "신흥국 연구 강화 계획을 좀 더 세밀하게 다듬어야 한다"며 "대외경제장관회의 등 정책협의 채널을 통해 논의해 나갈 계획이며 이르면 내년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