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 평가대상 기업 가운데 직원 1명이 벌어들인 순이익이 지난해 1억원을 넘어 7천만원을 밑돌던 2009년보다 46% 늘어난 규모다.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 56개사 가운데 50개사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직원 1인당 순이익은 지난해 1억58만원으로 2009년 6천886만원보다 3천172만원(46.1%) 증가했다.
각 업종을 대표하는 기업의 순이익이 60% 급증했지만, 고용은 한자릿수 증가에 그치다 보니 1인당 생산성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
한국GM, LS니꼬동제련, 삼성코닝정밀소재, SK종합화학은 사업보고서를 내지 않았다. 여기에 2월결산 홈플러스(옛 삼성테스코)와 2009년 보고서가 없는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등 6개사는 제외했다.
이들 '대표 주자''의 순이익은 2009년 37조2천823억원에서 지난해 59조3천749억원으로 22조919억원(59.3%) 증가했고 직원수는54만1천450명에서 59만316명으로 4만8천866명(9.0%) 늘었다.
외환위기 이후로 '고용없는 성장'' 추세가 대세였다는 점에서 정부의 일자리 창출 노력에 처음으로 화답한 결과로 분석된다.
한국 대표기업의 생산성 향상은 기업경쟁력 측면에서 긍정적이다.국부 창출과 증시 재평가 등에도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금융권이 아닌, 제조업계를 중심으로 1인당 순익이 1억원을돌파했다는 것은 한국 경제에 청신호로 읽힌다.
그러나 대기업에 이익이 쏠린 탓에 동반성장 효과는 의문스럽다는 시각도 있다. 대기업의 호황 혜택을 중소기업이 그다지 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의 집계를 보면 중소형사가 많은 코스닥 상장사의 순이익은 지난해 0.07% 증가에 그쳤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대표는 "대기업의 선도적 성장이 고용으로 직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대기업의 직접고용보다는 중소기업과 거래 관계를 공정화해 중소기업에 괜찮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6개 산업군별 56개사가 일차적인 평가대상에 포함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달 말까지 이들 기업과 동반성장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