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재산 피해액이 최대 25조엔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 구본관 수석연구원은 30일 '동일본 대지진의 경제적 영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지진에 따른 재산 피해액이 1995년 고베 대지진의 최대 2.5배에 달하는 16조~25조엔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집중 피해지역인 미야기(宮城), 이와테(岩手), 후쿠시마(福島) 등 3개 현의 피해액은 최대 23조엔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구 연구원은 올해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진피해가 없었을 때보다 0.4~0.6%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피해복구 투자로 경제성장률이 0.7~1.1%포인트 상승하는 효과가 있겠지만, 생산설비 파손, 부품공급 차질, 전력난 등 생산 손실로 1.3~1.5%포인트 감소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방사능 유출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직간접적인 GDP 감소 효과는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질 수 있다.
구 연구원은 "이미 일본은 GDP의 200%가 넘는 정부부채를 보유하고 있어 국가 신용등급이 하락해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발생한 피해복구 비용은 일본의 재정 부실화를 가속하고 정부의 정책운용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지진 등 환경 리스크가 커짐에 따라 일본 기업은 물론 해외기업의 일본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지진 피해는 일본의 성장 모멘텀을 약화시켜 복구 투자가 종료되는 2015년 이후에는 일본 경제성장률이 1% 미만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
지진으로 인한 엔.달러 환율은 단기적으로는 80~82엔대에서 등락을 반복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증폭시킬 전망이다.
이는 일본과 강한 수직적 분업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수출이 1% 증가하면 대(對) 일본수입이 0.95% 증가하는 등 일본에 부품·소재 등 중간재 수입을 크게 의존하고 있다.
구 연구원은 "엔화가치 급변동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는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을 높여 채산성 악화, 수출 둔화, 물가 상승 등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