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임금인상 압력 주요국 상위권

입력 2011-01-12 06:52
올해 우리나라의 임금인상 압력이 세계 주요국 가운데 상위권으로 나타났다.

가파른 경기 회복과 물가상승 때문으로, 노동계는 올해 사실상 두자릿수 인상을 요구할 계획이다.

12일 시장조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과 데이터스트림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천162조5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명목 GDP보다 19.2% 증가한 규모다.

반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명목 임금은 2007년 대비 11.4% 오른 것으로 계산돼 명목 GDP 증가율이 임금 상승률보다 7.8%포인트 높았다.

같은 기준을 적용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아시아 신흥시장국 등 15개국을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GDP-임금 격차는 4번째로 컸다.

인도네시아가 55.0%포인트로 가장 컸고, 호주와 말레이시아가 11.9%포인트와 10.4%포인트였다.

반면 최근 임금인상 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중국은 격차가 6.6%포인트로 우리나라보다 작았다.

성장이 더딘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GDP 증가율이 임금 상승률을 밑돌았다.

동부증권 김효진 연구원은 "GDP와 임금의 격차가 클수록 임금인상 압력이 크다"며 "기업이 수요 증가를 제품에 반영하면 임금인상이 기다린다"고 설명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경기 회복에다 최근의 물가불안은 임금인상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고 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고용사정이 점차 개선된 데다 물가상승이 겹쳐 올해 노동계의 임금인상 요구가 거세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동계는 다음 달 발표할 올해 임금인상 요구안을 정규직 기준 9% 후반대로 점쳤다.

두자릿수 인상률에 대한 부담이 작용했을 뿐, 사실상 10%로 잡은 셈이다.

민주노총 임동수 정책실장은 "물가, 성장, 생산성을 고려한 실질임금은 지난 3년간 줄었다"며 "정규직은 10%, 비정규직은 30% 가까이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 김종각 정책본부장도 "경제가 어려울 때 노동자들이 양보했던 부분을 이제 보상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다만, 임금인상은 다시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딜레마''다.

우리나라의 과거 물가와 임금 상관관계를 따져보면 물가상승이 1분기가량 시차를 두고 임금에 영향을 주고, 임금인상은 또 대략 1분기 뒤 물가에 반영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물가상승은 그 자체로 끝나는 게 아니라 임금인상과 소비증가를 통해 다시 물가가 올라가는 순환 현상을 만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