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액연금 최저보증리스크 선제적 대응 필요"

입력 2010-06-13 18:07
수정 2010-06-13 18:08
변액연금상품에 적용되고 있는 최저연금적립금보증(GMAB) 옵션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보험연구원은 ''변액연금보험의 최저보증옵션 현황 및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통해 "최근 경기상황이 호전되면서 변액연금 시장 주도권을 놓고 보험사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보험연구원은 보험사간 경쟁이 심화돼 최저보증 수준 자체가 올라갈 경우 리스크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보험사간 정보공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최저보증이란 보험사가 일정한 수수료를 받고 연금 개시시점에서 계약자 적립금이 최저보증 금액을 하회할 경우 계약자에게 그 차액을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일종의 풋옵션을 의미합니다.

현재 국내 22개 생보사 중 변액연금을 판매하고 있는 18개사들은 최저보증이 부가된 변액연금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최저보증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나름의 대책들을 마련해 놓고 있습니다.

우선 최저보증의 일종인 스텝업 보증의 경우 다수의 생보사들이 보증수준이 높아지는 것에 제한을 둠으로써 최저보증 리스크가 현실화되는 것을 막고 있습니다.

일부 생보사들은 계약자적립금에서 기납입보험료를 차감한 금액을 채권형 펀드에 편입하도록 함으로써 스텝업 보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수준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른 종류의 연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거나 특정 펀드에 대한 편입 비율을 제한하는 것도 최저보증 리스크를 줄이는데 일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채권형이나 주식 비중이 높은 혼합형 펀드 편입비율을 일정수준으로 강제하는 것은 보험사가 감당해야 하는 최저보증리스크 수준을 줄이는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권용재 보험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요즘 판매되는 변액연금상품은 최저보증 리스크가 현실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특징들을 갖고 있긴 하지만 시장경쟁이 심화되면 리스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품디자인 자체가 변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권 부연구위원은 또 "변약연금 최저보증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감독당국이 직접 개입하기보다는 보험사들이 최저보증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