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대학 이전 절반은 ‘허수’

입력 2010-05-06 17:42
<앵커>서울 소재 대학들이 경기도에 제2, 제3의 캠퍼스를 조성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대학 캠퍼스는 지역 발전에 큰 호재이지만, 계획과 달리 규모 축소나 취소되는 경우도 많고 투기 수요를 유발해 주민 반목이 발생하는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박준식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경기도 파주의 영태리 이화여대 캠퍼스 예정지구입니다.

옛 미군 기지에 캠퍼스가 들어선다는 발표 이후 인근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학교 바로 앞 대지 가격은 3.3㎡당 300만원으로 인근 지역보다 2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계속 연기되며 주민들의 불안과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미 처음 계획보다 부지 규모가 3분의1로 줄어든 상태입니다.

<전화인터뷰 이화여자대학교 관계자>

“지난해에도 연기했는데, 또 연기를 하게 됐다. 부지도 처음 계획보다 줄이게 됐다”

<스탠딩-박준식 기자>

“경기도 곳곳에는 이처럼 서울 소재 대학의 캠퍼스 조성이 예정돼 있지만 당초 계획과는 달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곳도 많습니다”

지난 2006년 이후 경기도와 캠퍼스 유치 양해각서를 체결한 곳은 14개 대학.

국민대와 광운대 등 절반에 가까운 6개 대학이 이전을 포기하거나 계획을 크게 줄였습니다.

지가 상승에 따른 토지 매입의 어려움과 총장 선거 등의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광명 캠퍼스를 추진했다가 백지화한 숭실대는 해외로 눈을 돌려 베트남에 캠퍼스를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경기도 광주에 들어설 세종대는 캠퍼스 아닌 연구단지라는 점에서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개발을 둘러싼 지역 주민들간에 마찰입니다.

개발 호재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투기 광풍이 불었고 주민간 반목과 갈등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대학 캠퍼스는 학교부지 개발과 인근 상권, 도로교통망 확충 등 지역 경제 발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캠퍼스 이전 자체는 대학의 내부 문제라지만 이로 인한 사회적 파장을 고려하면 지역 선정과 계획을 수립하고 발표하는데 좀더 신중한 자세가 필요해 보입니다.

WOW-TV NEWS 박준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