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 산업 체계적 지원필요"

입력 2009-11-17 17:04
<앵커> 풍력발전도 유력한 친환경에너지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걸음마 단계인데요. 성공적인 풍력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을 이승필 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풍력발전이 차세대 친환경에너지로 급부상하면서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풍력발전 전문 분석기관인 EER에 따르면 풍력발전으로 생산한 전력량은 2010년 3만 5천 MW에서 2020년에 6만2천 MW에 이를 전망입니다.

우리 정부도 높은 목표치를 제시하며 시장개척에 나서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193MW인 풍력발전 규모를 2012년에 1천145MW로 늘린 뒤 2030년 쯤이면 7천3백 MW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하지만 국내 시장은 태동 단계에 불과합니다.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만들어진 풍력 발전설비 규모는 모두 2만8천 MW.

이 가운데 76%를 덴마크의 베스타스와 미국의 GE 등 6개 해외기업이 점유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선 두산중공업과 효성, 유니슨이 그나마 세계 시장을 노려볼 만한 입지를 다졌습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업체는 직접 또는 해외업체 인수 등을 통해 시장에 뛰어든 상황입니다.

이 같은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날 포럼에 연사로 참석한 세계 1위의 풍력 터빈 생산업체 베스타스타워의 크너드 비아너 헨슨 대표는 차세대 에너지를 발굴하는 것은 정치적인 문제라며 제도적인 지원을 주문했습니다.



<인터뷰> 크너드 비아너 헨슨 베스타스타워 대표

"풍력발전 시장은 정부 지원과 법률, 정치적인 약속 없이 발전할 수 없습니다."

국내 기업 관계자들도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대규모 자금과 설비가 필요한 분야인 만큼 기술력만 가지고는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김두훈 유니슨 사장

"아쉽게도 우리나라는 바람이 좋은 지역이 대부분 산악지형이든지 공공기관의 부지로 지정돼 있습니다. 바람이 좋은 지역은 비록 산림지역이라도 실제 환경에 피해가 없다면 규제도 풀어주시고..."

일부 참석자는 발전설비를 지으려 해도 허가를 받는데 보통 1년에서 2년이 걸린다며 각종 규제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또 이미 깔려 있는 전력망을 공유하면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제안도 이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기술력이 뛰어난 데다 국토의 3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있어 바닷바람을 활용하기 쉽다며 국내 풍력산업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WOW-TV NEWS 이승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