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는 실손보험 중복가입과 키코 불완전판매, 우리은행 부실 관련 감독당국의 책임론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채주연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감독원 국감 현장.
업무보고가 끝나기 무섭게 국회의원들의 호통이 터져나옵니다.
"거짓말 하지 마세요. 10월 8일에 금감원에서 부른 적 없다는 사람이 또 왔습니다. 외부인 출입기록부 보니까 손보, 생보 관계자들이 또 왔다 갔어요."
"금융감독원이 얼마나 힘이 센지 모르겠지만 그런식으로 방해하고 자료제출 왜곡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실손보험 중복가입으로 인한 초과 납입보험금에 대해 금감원이 생손보사 담당자를 불러 "환불이 불가하다는 논리를 확실히 하라"고 지시했다는 국회의원의 국감 자료에 대해 금감원이 "그런 적이 없다"고 반박하면서 의원들의 심기를 건드렸습니다.
의원들은 금감원이 사실을 은폐하고 언론 보도를 막는 등 감독기관으로서 부적절한 처사를 했다며 비난했습니다.
중소기업들을 위기로 내몰았던 키코(KIKO)상품 불완전판매에 대한 제재가 미온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지난 9월 열린 제재심의위원회에서 은행측이 대외신인도와 현재 진행중인 소송에 악영향을 줄 것을 우려, 제재 유보를 요청하자 금감원이 은행 측 의견만 듣고 이를 수용했다는 것입니다.
우리은행의 파생상품투자 손실과 황영기 전 회장의 징계에 대해서도 예상대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인터뷰> 김동철 / 민주당 의원
"당시 윤증현 금감원장이 금융회사 대형화 이런 것 추진했기 때문에 알면서도 눈 감아 줬던 것 아닙니까?"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감독당국의 책임이 일부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인터뷰> 김종창 / 금융감독원장
"감독원의 책임이 일부 있다고 본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2007년 초 검사 하기 전에 인지를 했었고, 그런데 그 당시에는 손실이 없었다."
일부 의원들은 은행을 비롯한 대형 금융사에 비해 2금융권은 관리.감독이 취약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 등은 ''감독 사각지대''로 불릴 정도라며 정보 공개 의무화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WOW-TV NEWS 채주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