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5.8 규모의 역대 최대 지진이 발생하면서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의 내진 설계에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3일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진행된 하나로에 대한 내진 보강공사가 내달 31일 완료될 예정이다.
연구원은 공사가 끝나는 대로 테스트에 들어가 올해 말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검사를 받아 재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후속조치로 국내 원자력시설에 대한 점검을 벌였으며, 하나로는 건물 벽체의 전체 면적 중 4.8%의 내진 성능이 기준에 미흡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보강 공사가 추진됐다.
원자력안전법령상 원자로 시설은 0.2g의 지진(규모 6.5)에 대비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해당 벽체의 내진 성능은 0.09g(규모 5.9)∼0.19g(규모 6.4) 수준으로평가됐다.
전날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한반도 최대 규모 지진 5.8을 겨우 넘는 수준이다.
지난해 운영을 시작한 신고리 3호기 등 신규 원전부터는 이보다 강화된 0.3g(규모 7.0)의 내진 설계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하나로에 대해서도 기준을 더높여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한반도에서 7.0 이상의 대형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들어 원전시설의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연합뉴스 통화에서 "역사적으로 보면 7.0을 넘어서는 지진으로 평가되는 사례도 있다"면서 "원전 하부 지하 10km에서 규모6.5∼7.0 이하의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를 가정해 원전을 설계한 것으로, 6.5 규모이하의 지진에도 진원의 깊이가 지표면에 가까워지면 피해 규모는 커질 수 있다"고말했다.
이어 "지진의 규모가 작더라도 지진동은 커질 수 있다"면서 "이번 5.8 규모의지진은 지하 깊은 곳에서 발생해 피해가 없었지만, 더 큰 규모의 지진이 지표 인근에서 발생할 경우에도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핵없는사회를 위한 대전공동행동은 이날 성명을 내고 "인구 150만명이 넘는 대전 도심 한복판에서 하나로원자로를 비롯해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를사용하는 위험천만한 실험들이 행해지고 있다"면서 "이번 지진의 진앙지가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어서 피해가 적었지만, 대전 도심에서 같은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면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원자력연 이충성 하나로 운영부장은 "원전시설은 지표면에 가깝게 지진이 발생했을 최악의 경우를 가정해 설계한다. 이번 지진도 진원이 깊어 경주 원자로 시설 지진계에 잡힌 진도는 2∼3 정도의 규모로 높지 않았다"면서 "현재의 0.2g기준으로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1986년 처음 하나로를 건설할 당시와는 기술 수준도 다르고 내진공학도많이 발달했다"면서 "3차원 모사를 통한 해석으로 내진 설계에 안전성을 높였다"고강조했다.
하나로는 순수 국내 기술로 건설된 열출력 30Mw급의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로, 1995년 첫 임계에 도달한 뒤 22년째 운영 중이다. 2014년 7월 전력계통 이상으로 일시 가동중단에 들어간 뒤 내진성능 보강 공사가 이어지면서 현재는 가동이 중단된상태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