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규모 축소에 지역 정치권·과학계 반발

입력 2013-05-07 16:50
정부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규모를 축소하고 조성 기간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대전지역 정치권과 과학기술계가 강하게반발하고 있다.



민주통합당 이상민(대전 유성구) 국회의원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과학벨트를방치하거나 폐기하려는 박근혜 정부의 속셈이 만천하에 드러났다"면서 "과학벨트를정상적으로 추진하겠다던 대통령의 약속이 헌신짝처럼 내팽개쳐졌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동안 지정 국책사업임에도 불구하고 대전에 50%를 분담하라고 요구하면서 사업을 미적거렸는지 그 이유가 밝혀졌다"면서 "과학벨트 규모를 줄이고 조성 기간을 연기해 결국은 과학벨트를 폐기하려는 의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과학벨트는 발목 잡고 포항 4세대 방사광 가속기 예산은 밀어주고있으니 기가 막힐 노릇"이라면서 "최종 사업규모가 축소되고 변경된다면 과학기술계는 물론 충청민의 거대한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과학벨트 부지매입비의 예산안 반영이 차질을 빚은 데 이어 규모까지 축소할 움직임을 보이자 과학계도 고민에 휩싸였다.



과학벨트 사업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 오세정 원장은 "IBS의 설립취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을 설립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잣대로 평가하면 안되는 데 답답하다"면서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어 "정부에 중이온가속기가 왜 필요한지 더 적극적으로 알려 예산을 원안대로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초과학연구원 한 관계자는 "기재부에서는 현재 거대 장비를 활용하는 연구단이 없다는 이유로 규모를 줄이려 하고 있다"면서 "역으로 실험 장소가 확보되지 않아 연구단을 운영하지 못하는 것인데 그 같은 점을 적극 소명했지만 받아들여지지않았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해부터 진행되고 있는 과학벨트 내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용지 면적과 건축 연면적 등을 2011년 수립된 기본계획에 비해각각 50%, 30% 수준으로 대폭 줄이는 방향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것으로알려졌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