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설계 당시 일본 지질특성 반영 안돼"

입력 2013-03-13 15:26
한국원자력학회, 후쿠시마 원전사고 최종 보고서 발표



국내 전문가들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원인은 원전 설계 당시부터 일본의 지질학적 특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원자력학회(회장 정연호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산하 후쿠시마위원회는 13일 '후쿠시마 원전 사고 분석' 최종보고서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보고서는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가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은 원전의 설계·건설·운영 과정에서 지진과 쓰나미가 빈발하는 일본 고유의 자연환경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데 있다고 지적했다.



원전 건설 당시 부지 설계기준에서 지진에 의한 최대 지반 가속도는 0.18g, 쓰나미의 최대 파고가 3.1m로 설정됐다.



대형 지진이 거의 없는 한국 원전들에 대한 설계기준 지진가속도도 0.2g임을 보더라도 지나치게 낮은 값이다.



당시 미국에서 개발된 원전을 일본에 도입하면서 일본 고유의 지질학적 특성을적극적으로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원전 건설 이후에도 원전의 안전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우리원전은 안전하다'는 잘못된 믿음이 안전불감증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후쿠시마 사고 이전에도 도쿄전력은 2002년 원자로 내부 구조물의 균열을 장기간 은폐한 것으로 드러나 가동 중이던 원전 17기 모두 가동이 정지된 바 있다.



2006년에도 도쿄전력의 199건의 데이터 조작 사실이 드러나면서 경영진 교체와사고 등이 잇따랐지만 안전문화는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



기술적 측면 이외에도 일본 사회의 집단주의 특성과 유착문화(Culture of Complicity), 즉 자기가 속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부정을 저지를 수 있다는 의식도 원전사고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원인으로 지적됐다.



한편, 후쿠시마 사고 이후 국내에서도 국가 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을 통해 방사선 준위를 측정해오고 있으며 평상 범위를 벗어나는 이상치는 한 번도 측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후쿠시마 사고로 인한 한국 국민의 연간 피폭선량은 최대로 가정해도 0.0007 밀리시버트(m㏜) 정도로, 한국인이 연간 자연방사선에 의해 피폭되는 선량인 3 밀리시버트(m㏜)와 비교하면 더욱 미미한 값이다.



사고 이후 해수 시료와 해양생물을 채취해 방사성핵종을 분석한 결과, 사고 이전 평상시의 준위를 나타내 후쿠시마 사고가 국내 해양 환경에 특이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이번 사고의 교훈으로 안전철학 및 확보체계 강화, 중대사고 예방을위한 설계 안전성 강화, 중대사고 대처능력 강화, 비상대응체계 강화, 원자력 안전기반 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국내 원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후쿠시마 사고 후 발표된 안전성개선대책을 포함해 가동 원전의 안전성 향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 등 9개 항목을 제안했다.



후쿠시마위원회 백원필 위원장은 "후쿠시마 사고는 쓰나미 이후 대응과정보다는사전에 대비가 부족했다는 점이 문제"라면서 "이를 통해 원자력 안전은 최악의 상황도 고려하면서 사전에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원자력학회는 2011년 11월 일본의 원자력 사고가 국내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유사 사고에 대비한다는 취지에서 국내 산학연 50여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후쿠시마위원회를 발족했다. 올해 말까지 2년간 활동하게 되며, 이번 보고서를 관련 후속 연구를 수행하거나 정책을 개발할 때 참고할 계획이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