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신흥국 부채문제의 역설

입력 2016-05-13 09:22
지난 7일 더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The coming debtbust'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를 통해 '중국의 부채문제 폭발은 시간문제일 뿐'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다.



핵심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260%에 이르는 부채의 규모, 매년 30%대에 이르는증가 속도, 그리고 정부의 정책 대응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다.



감당할 수도 없고, 해결할 방법도 없으니 언젠가 터지고 말 것이라는 논리다.



중국의 문제는 결국 기업부채와 이를 짊어지고 있는 은행의 문제다.



사실 이런 문제는 한국도 마찬가지인데, 지난 2월 국회 예산정책처가 발표한 񟭐년 한국경제 리스크 요인 점검' 보고서를 보면 국내 기업부채의 규모는 2천347조원으로 GDP 대비 150%로 신흥국 최고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이나 우리나라뿐 아니라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도 국영기업 중심으로 막대한 규모의 부채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신흥국 기업부채 문제는 버틴다고 해결될 성질의 것은 아니다.



지극히 구조적이기 때문이다. 이들이 지고 있는 부채는 대부분 제조업과 교역,그리고 자원개발과 연관된 Ɖ차 산업혁명' 시기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산업구조는 바야흐로 지식과 정보 중심의 Ɗ차 산업혁명'의 시기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다.



이제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줄고, 교역은 점점 필요 없어지게 됐으며 화석연료의의존도는 낮아지는 방향으로 가기 때문에 앞으로 신흥국 기업들의 자산 부실과 부채문제는 지속될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과 한국, 그리고 신흥국들은 앉아서 당하기만 할 것인가? 당연히그렇지 않다.



현재 중국과 한국은 공히 기업부채 문제를 구조조정(Restructuring) 방식으로풀려 하고 있다. 수술과 비슷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수술 중에 수혈이 필요하듯이 구조조정도 결국 '돈'의 문제다.



과거에는 배드뱅크(bad bank)를 통해 구조조정을 지원하는 방식을 썼다면, 지금은 외환보유고와 같은 쌈짓돈이나 발권력을 동원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거론되는 한국형 양적완화(QE) 또한 같은 맥락이라고 보면 된다.



이러한 구조조정 작업을 할 때 필요한 것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통해 정책부담을 줄여주는 것이다.



금리를 낮춰주고 유동성을 공급해 한계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노이즈를 줄이자는 것이다.



최근 호주와 태국이 깜짝 금리 인하를 단행했고, BNP파리바나 HSBC와 같은 주요투자기관들이 '한국을 비롯한 주요 신흥국들도 줄줄이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주장을 펴며 정책 모멘텀을 키우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업부채 문제가 해당 국가들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이끌어 정책모멘텀을 높이고 자산 랠리를 이끄는 '역설'이 작용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중국을 중심으로 부채문제가 강화된 이상, 부채문제로 위험자산의 가격이 하락하고, 정책 모멘텀에 의해 반등이 다시 출현하는 모순과 역설이 상존하는시장 국면에 도달했다고 본다.



이런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있어야 혼란스러운 시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작성자: 박성현 삼성증권[016360] 연구원 sunghyun73.park@samsung.com) ※ 이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연구원)의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