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풍향계> "현재 미국 통화정책, 금리 정상화 과정"

입력 2016-04-24 08:00
미국 금융위기 해결을 위해 등장한 것이 양적완화 정책이다.



이는 '비전통적인'이란 표현을 쓸 만큼 정상적인 통화정책 운용이라 볼 수 없다.



일각에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막무가내식으로 달러를 찍어 시장에공급해 신용경색을 막고 경제가 살아난 것처럼 느끼게 했다고 해서 유동성 모르핀이란 표현을 쓰기도 했다.



일시적인 통증은 줄여줄지 모르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면 현재 우리는 유동성 중독의 금단현상을 겪고 있는지 모른다. 더 나아가 미국금리 인상이 시장경제를 망치는 건 아닌지 걱정하고 있다.



미국 금리 인상은 아직 인플레이션 억제 의미를 갖지 않는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운용은 과수요에 따른 물가상승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가동된다.



그런데 현재 미국의 물가 수준은 인플레이션 위험을 걱정할 단계에 도달하지 않았다. 즉 미국 금리 인상은 물가상승 억제 의도는 없다는 것이다.



반대로 금리를 계속 올리지 않는다고 가정해 보자. 당장 투자자 입장에선 반가운 일이다.



그런데 가계자산을 운용하고, 소비해야 할 주체는 비정상적으로 낮은 금리가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금리 수준이 워낙 낮다 보니 금융소득은 감소하고, 소비를확대하려 하면 자산 축소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투자자 입장과 달리 소비를 끌어 올리기 위해선 경제 및 물가상승 속도와 같은 금리 수준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미국 경제가 2% 내외의 성장, 물가는 1%대 중반의 상승세를 보이기 때문에 적어도 기준금리도 1%는 돼야 한다는 뜻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미국 통화정책은 '긴축'의 표현보다 '금리 정상화'라는 정의가맞다.



따라서 미국 금리 인상 가부에 따라 혼란을 느끼는 투자자 반응은 점진적으로완화될 가능성이 크다.



과거 국내 증시와 미국 기준금리의 방향성을 살펴봐도 미국 금리 인상국면에 국내 증시가 상승국면에 진입한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경기여건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금리 인상 결정이 가능하다는 시각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이번 주 발표될 국내외 경제지표 등 주요 일정으로는 ▲ 25일 한국 3월 할인점과 백화점 매출 ▲ 26일 미국 3월 내구재주문, 한국 1분기 성장률 ▲27일 중국 3월경기선행지수 ▲ 28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결정, 미국 1분기 성장률 ▲ 29일 유럽 3월 실업률과 1분기 성장률, 미국 3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등이 있다.



(작성자: 김형렬 교보증권[030610] 매크로팀장 Jeff2000@iprovest.com) ※ 이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연구원)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