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내 M&A 시장 거래액 '사상 최대'…아시아권 3위

입력 2016-03-09 07:00
"국내 기업의 외국기업 M&A는 '미미'…해외로 눈 돌려야"



지난해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의 거래대금이사상 최대로 늘면서 아시아 국가 중 3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시장연구원은 9일 영국계 M&A 분석기관인 '머저마켓'을 인용해 "지난해 국내 M&A 시장에서 총 362건, 875억 달러(약 105조7천262억원) 규모의 거래가 이뤄진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로,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중국(4천869억 달러)과 홍콩(1천408억 달러)에 이어 3번째 규모다.



국내 M&A 시장의 거래대금은 2012년 295억 달러에서 2013년 353억 달러, 2014년770억 등으로 늘면서 연평균 43.7%의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김규림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지난해 삼성과 SK 등 대기업의 지배구조개편과 사업구조 재편을 위한 대형 M&A가 성사되며 전체 거래대금의 증가를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4월 SK C&C의 SK홀딩스 합병(244억 달러)과 5월 제일모직의 삼성물산[028260] 합병(113억 달러) 등 2건의 거래대금이 357억 달러 규모로, 전체의 40.8%를 차지한 것으로 추정됐다.



올해도 M&A 거래의 증가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른바 '원샷법'으로 불리는 기업활력제고를 위한 특별법이 올해부터 시행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원샷법'은 상법·세법·공정거래법 등에 흩어진 관련 규제를 한 번에 풀어주고 세제·자금 등을 지원하는 게 골자로, M&A 절차간소화를 뒷받침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지난해의 경우 대기업 중심으로 M&A 시장이 성장했다면 원샷법 시행 이후에는 중소·중견기업의 M&A도 늘 가능성이 크다"며 "거래대금이 지난해를 뛰어넘을지는 미지수지만 거래 건수는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지난해 국내 기업의 외국기업 M&A는 36억 달러 규모로 국내 기업간 M&A규모 대비 4%대에 불과해 일본(179%)이나 영국(101%) 등에 비해 그 비율이 낮았다"며 "해외에서 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외국기업에 대한 M&A에 나설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oh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