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장중 배럴당 3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등 '날개 없는 추락'을 이어가자 지난 1990년대 장기 저유가 국면의 재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글로벌 전반에 퍼진 저성장 기조와 미국 달러화 강세, 원유 수급 상황 등이 1990년대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1990년대 유가는 10∼20달러 박스권에 머무는 상황이 수년간 지속되다가 후반부터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
13일 하이투자증권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경기와 더불어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달러화와 금리를 꼽을 수 있다.
현재 달러화와 미국 정책 금리 흐름은 여러모로 1990년대와 유사한 점이 많다.
1990년대 달러화는 다른 경기 확장 국면과는 달리 초강세 사이클을 유지했다.
당시 동·서독 통합, 동유럽 및 독립국가연합(CIS) 체제 전환, 일본 버블 붕괴,이머징 위기 등으로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경제는 불안한 경기 흐름을 보인 반면미국은 정보기술(IT) 붐과 금융서비스의 발전으로 호황을 누렸다.
미국의 글로벌 경제 주도권 장악으로 당시 달러화는 초강세를 기록했다.
최근의 상황도 이와 비슷하다. 미국 경제는 스마트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등 인터넷 산업 발전으로 신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중국 경기 둔화, 유럽연합(EU)과 일본의 경기 회복 지연, 신흥국의 부채위험 등을 감안하면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경우 경기 회복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1990년대 중·후반처럼 미국 정책 금리가 인상 사이클에 진입해 달러화 강세를촉발하는 점도 저유가 장기화 국면 진입 우려를 뒷받침하는 요인이다.
원유 시장의 공급 상황도 1990년대를 떠올리게 한다.
당시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결속력이 급격히 약화되며 OPEC의 원유 생산 쿼터가 제대로 준수되지 않았고 이는 원유 생산의 증가로 이어졌다. 북해산 원유 생산증가와 구(舊)소련의 붕괴 등도 원유 수급에 영향을 미쳤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OPEC 결속력이 약화되고 있음이 1990년대와 유사하다"며 "유가 급락에도 시장점유율 경쟁 등으로 OPEC 원유 생산 감산 합의가 이뤄지지 못하며 오히려 OPEC 원유 생산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간 갈등 심화, 이란의 원유 증산 가시화와 미국의 원유수출 재개, 미국 내 원유 재고 상황 등은 원유 공급 초과 우려를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홍성기 삼성선물 연구원은 "중국 위안화 약세와 증시 급락에 따른 금융시장 전반적인 위험자산 회피도 유가 하락세의 주요 원인이나, 과거 하락세를 제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던 미국 원유 생산 조정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유가 하단을 더욱 낮추고 있다"고 말했다.
박상현 연구원은 "유가 사이클이 1990년대와 같이 장기 저유가 국면에 진입할가능성이 크다"며 "다만 추가 하락폭은 제한적이며 20달러 중후반 수준에서 저점을타진한 뒤 90년대 흐름과 같이 박스권 내 등락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hanajja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