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변화 없을 듯…추가조치 시사발언 여부에 주목
이른바 '아베노믹스'의 금융 완화 정책을 주도해온 일본은행(BOJ)의 새해 첫 금융정책결정회의 결과가 22일 나온다.
시장에선 그간의 돈 풀기 정책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대부분이다.
다만,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일본의 4월 소비세 인상을 앞두고 추가 양적완화를시사할 만한 발언이 나올지에 주목하는 모습이다.
현재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은 지난해 4월4일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의 발표로 구체화됐고, 아베노믹스의 '첫 번째 화살'로 불렸다.
그 핵심은 자산을 사들여 본원통화를 올해 말까지 2배 수준으로 늘리는 것이다.
물가상승률 2% 달성을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하겠다는 원칙도 깔려있다.
이는 엔저 후폭풍을 몰고 왔고 우리 수출 경쟁력을 갉아먹었다. 작년 말에 다시한 번 엔저에 속도가 붙으면서 국내 수출기업의 4분기 실적 악화의 배경이 됐다. 우리가 일본은행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이유다.
회의 전망에 대해 이상재 현대증권 연구원은 "현상 유지로 결론날 것으로 보는게 일반적인 관측"이라며 "아직은 (변화를 모색할) 때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소재용 하나대투증권 연구원도 "기존의 유동성 공급을 유지할 것"이라고 봤다.
블룸버그가 36명의 실물경제학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응답자 전원이 연간60조~70조엔의 자산을 사들이는 완화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대로라면 국내 주식·외환시장에 이렇다 할 충격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각에서 새나오는 추가 양적완화 기대는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이는 4월부터 일본 소비세율이 5%에서 8%로 올라가면 소비 위축으로 성장 둔화가 우려되는만큼 선제적 추가조치가 필요하다는 논리다.
이 때문에 이번에 통화정책을 유지하더라도 추가 양적완화를 시사하는 얘기가나올지에 시장은 주목한다. 가능성이 현실화되면 엔저는 다시 힘을 받고 국내 증시는 그 충격을 고스란히 떠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런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소비세율 인상에 앞서 추가양적완화로 선제 대응하기보다는 인상 후 경제 흐름을 확인하고 판단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 무작정 돈을 푸는데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많다.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6월 플러스로 돌아선 뒤 9~10월 1.1%에서 11월 1.5%로 높아졌다. 임금 인상이 정체된 가운데 물가가 뛰고 소비세 부담까지 커지면 민생을 위협할수 있다.
이상재 연구원은 "현재로선 3분기 소비와 성장 흐름을 본 뒤 정책적으로 대응할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고 전했다.
이효근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일본 금융정책결정회의는 매달 열리는 만큼 서두를 것 같지는 않다. 소비세 인상 후에 판단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소재용 연구원은 "일본은행의 3월 회의가 소비세율 인상에 앞서 열린다는 점에서 추가 통화완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질 수 있지만, 물가상승에 따른 일본 정치권의부담을 고려할 때 기존 통화정책을 고수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princ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