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내년도 대내외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노동당 전원회의를 열고 미국에 ‘최강경 대응’을 언급했지만 예년에 비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내년 초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북한도 절제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북한은 이번 전원회의에서 4년 만에 내각총리 등 주요 간부를 대거 교체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3∼27일 노동당 본부에서 제8기 제11차 전원회의를 열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미·일·한 동맹이 침략적인 핵 군사블록으로 팽창되고 대한민국이 미국의 철저한 반공 전초기지로 전락된 현실은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명백히 제시해주고 있다”며 “국익과 안전보장을 위해 강력히 실시해 나갈 최강경 대미 대응 전략이 천명됐다”고 했다.
다만 통신은 ‘최강경 대미 대응’의 구체적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매년 언급된 ‘핵무력’과 관련한 내용도 보도되지 않았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제 정세의 운신 공간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대미 정책 발표를 유보한 것으로 보인다”며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사가 나온 후인 차기 최고인민회의(2025년 1월)에서 미국에 대한 입장이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에 대한 언급도 사라졌다. 지난해 말 전원회의에서 김정은이 ‘적대적 남북 두 국가론’을 주장한 것과 대비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적대적 두 국가론이 북한 내부에서 공감대가 쉽게 확산하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회의에선 경제 분야를 총괄하는 내각총리가 김덕훈에서 박태성으로 교체됐다. 박태성은 지난해 9월 김정은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진행한 북·러 정상회담에 배석하는 등 김정은의 최측근 중 한 명이다. 홍 위원은 “박태성은 당 과학교육비서 겸 국가우주과학기술위원장을 지내면서 북·러 과학 및 우주 교류를 주도했다”며 “향후 러시아와 다방면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전면에 배치했을 것”이라고 했다.
북·러 관계에 관여한 인사가 이번 인사에서 전면에 부상했다는 평가다. 정치국 후보위원이던 최선희 외무상과 이영길 총참모장은 이번 인사에서 정치국 위원에 오르며 입지가 상승했다. 북한 정치국은 당의 핵심 의사결정기구다. 최선희는 북·러 관계 격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고, 이영길은 러시아 북한군 파병 이행과 관련한 인사로 풀이된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