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 여기저기 나뒹굴어도…주차거치대 설치 꿈쩍않는 PM업체

입력 2024-12-01 18:05
수정 2024-12-02 00:23
인도 위 골칫덩이로 전락한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전용 거치대를 설치하라는 서울시의 요구에도 업체 측이 나서지 않아 시민 불편이 커지고 있다. 시는 그간 자치구가 거치대를 수백여 곳에 시범적으로 설치한 만큼 앞으로는 업체 측이 주도적으로 거치대를 확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공유 PM 업체들은 비싼 도로 점용료를 내고 주차 구역을 운영하는 건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맞선다.

1일 시에 따르면 서울 내 공유 PM 주차 구역은 총 330곳이다.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2022년부터 시범 설치한 게 전부다. 서울에서 영업 중인 PM 공유 사업 4개사가 운영하는 킥보드는 지난 9월 기준 4만4123대로 공유 자전거 따릉이(4만5000여 대) 대수와 맞먹는다. 하지만 대여소가 2700곳에 이르는 따릉이에 비해 주차 공간은 턱없이 적다.

서울시는 PM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더스윙, 지바이크, 빔모빌리티, 펌프 4개사와 작년 1월부터 최근까지 총 여덟 번의 간담회를 했다. 수차례에 걸쳐 주차 구역 설치를 촉구했지만 아직 단 한 곳도 정식으로 점용 허가 신청서를 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길거리에 무분별하게 방치되는 전동킥보드에 대한 불만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보행 안전과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시민들이 서울시에 제기한 민원은 최근 4년간 38만 건에 육박했다.

업체 측이 주차 구역을 적극적으로 만들지 못하는 이유는 도로 점용료가 비싸서다. 주차 구역을 설치하려면 사업자는 지방자치단체에 점용 허가 신청서를 낸 뒤 공시지가 5% 범위에서 점용료를 내야 하는데, 서울 시내에선 구역당 수백만~수천만원을 매년 지출해야 하는 셈이다. 업체 측은 주차 구역이 실효성이 없다고 항변한다. A업체 관계자는 “공유 킥보드의 이점은 아무 데서나 빌리고 주차하는 것인데 이용자들이 지정된 구역에 킥보드를 제대로 반납할지 의문”이라고 했다.

최근 업계에선 물리적인 주차 구역 대신 앱상 설정된 가상 주차 구역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구는 10월 지하철 2호선 신매역과 달성군 테크노폴리스 일대에 가상 주차 구역을 지정했다. 모바일 앱상 설정된 주차 구역에 전동 킥보드를 주차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술적으로 완성도가 높다면 면밀히 검토한 뒤 가상주차제도를 시도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