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에 살면서 서울 역삼동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최모씨(31)는 최근 구입하려고 한 ‘새 차’를 포기했다. 신혼집 대출이자를 갚기도 빠듯해 점심·저녁을 구내식당에서 해결하는 상황에 차를 구입하는 건 무리라고 판단했다. 최씨는 매일 버스로 출·퇴근하는 데 4시간을 쓴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영향으로 살림살이가 팍팍해지자 벌이가 증가했는데 씀씀이를 줄이는 가계가 늘고 있다. 술, 담배 등 기호식품과 자동차 같은 내구재 소비를 줄이는 가구가 증가하고 소득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가구당 평균소비성향은 69.4%로, 작년 같은 분기(70.7%)보다 1.3%포인트 낮아졌다. 평균소비성향이 낮을수록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이 적다는 뜻이다. 평균소비성향이 전년 대비 하락한 것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2년 2분기 이후 아홉 분기 만이다. 평균소비성향은 지난해 1분기부터 줄곧 70%대를 유지하다가 이번에 처음 60%대로 떨어졌다.
가계의 평균 수입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5만5000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503만3000원) 대비 4.4% 늘어났다. 다만 소득의 질은 나아지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각각 3.3%, 0.3% 증가했는데, 재산소득(51.8%)과 이전소득(7.7%)이 더 큰 폭으로 뛰었다.
벌이가 신통치 않자 가계는 지갑을 여는 데 인색해지고 있다. 3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97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소비지출액’은 290만7000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 대비 3.5% 늘었다. 하지만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면 ‘실질 소비지출’은 1.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연금 기여금과 이자 비용을 포괄하는 ‘비소비지출액’은 106만8000원으로 0.5% 늘어났다.
소비지출 항목을 실질 증감률로 보면 ‘짠물 소비’ 경향이 두드러진다. 지출 규모가 가장 크게 줄어든 교통(-6.1%) 분야는 ‘자동차 구입’이 1년 전보다 24.8% 감소했다. 새 차 구입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호품인 주류·담배도 지출 규모가 전년 동 분기 대비 4.0% 줄었다.
지출 규모가 가장 많이 늘어난 소비 항목은 주거·수도·광열(10.8%)이었고, 보건(5.9%)이 뒤를 이었다. 주로 생활에 필수적인 영역에서 소비 지출이 증가했다는 의미다. 외식과 숙박비 등 음식·숙박 지출은 5.6% 증가했고, 입원서비스 지출이 늘어 보건 부문도 7.9% 불어났다.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18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390만7000원)보다 5.5% 증가했다. 가계 흑자액도 128만원으로 1년 전(116만2000원)보다 10.2% 늘어 3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결혼이 늘면서 가구 소득 대비 지출이 줄어든 영향도 있다”며 “생계가 어려워져 지출이 줄었다고 단정하긴 어렵다”고 했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