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이 트럼프 당선인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직접 대화를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26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조기 북미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가운데, 한반도 정세에 '트럼프발(發) 지각변동'이 일어날지 관심이 쏠린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이 사안에 정통한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트럼프팀은 이런 새로운 외교 노력을 통해 북한과 무력 충돌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집권 1기 때 2018년 1차례, 2019년 2차례 총 3차례에 걸쳐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면서 친분을 쌓았다. 하지만 모두 뚜렷한 성과 없이 회담이 결렬됐던 만큼, 5년이 지난 시점에서 트럼프 당선인과 김 위원장의 관계가 복원되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팀은 이 상황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직접 김 위원장에게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트럼프팀 내부의 이런 논의는 유동적이며 아직 트럼프 당선인이 최종 결정을 내리진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정권 인수 단계에서부터 벌써 김 위원장과의 관계 개선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오는 것으로 미뤄보면 내년 1월 20일 공식 취임 이후 북미 정상회담의 조기 개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번 대선 과정에서 줄곧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시사해왔다.
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이 대통령 후보로 공식 지명된 지난 7월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많은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누군가와 잘 지내는 것은 좋은 일"이라며 "우리가 재집권하면 나는 그(김정은)와 잘 지낼 것"이라고 했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최근 러시아와 긴밀하게 협력하는 동시에 공식 석상에서 '북미 대화모드' 관측에 선을 긋고 있는 만큼, 양측 정상이 좀처럼 접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2일 연설에서 "우리는 이미 미국과 함께 협상주로의 갈 수 있는 곳까지 다 가보았으며 결과에 확신한 것은 초대국의 공존의지가 아니라 철저한 힘의 입장과 언제 가도 변할 수 없는 침략적이며 적대적인 대조선정책이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반도 정세 악화의 책임도 미국에 돌렸다. 그는 "오늘날 조선반도지역에 조성된 극단한 정세가 결코 상대에 대한 오해로 빚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이라며 "제반 현실은 적을 압도할 수 있는 최강의 국방력, 이것만이 유일한 평화수호이고 공고한 안정과 발전의 담보임을 매일, 매 시각 절감케 하고 있다"고 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