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공과대(IIT)는 단순히 교실에서 학문을 가르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리더십 역량을 키우고 산업 현장에서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IIT 뭄바이 총장을 지낸 수바시스 차우두리 석좌교수는 2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글로벌 리더십 교육이 세계적인 정보기술(IT)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자리를 인도계가 차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라며 “학생들이 세계 어디서든 빠르게 적응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IIT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IIT는 1951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를 벤치마킹해 설립됐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아르빈드 크리슈나 IBM CEO 등 글로벌 기업의 리더를 배출한 인도 최고의 명문 국립대다. IIT는 인도 전역에 23개 캠퍼스를 뒀는데, 뭄바이 델리 마드라스 칸푸르 카라그푸르 다섯 곳이 특히 명성을 떨치고 있다.
차우두리 교수는 2019년부터 올해 5월까지 IIT 뭄바이 캠퍼스 총장을 지냈다. 그는 30일 개막하는 ‘글로벌인재포럼 2024’에서 ‘인도 출신 CEO 전성시대, 이들을 배출한 인도공대의 교육철학과 한국 대학 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유홍림 서울대 총장과 대담할 예정이다.
IIT의 경쟁력은 철저한 학생 선발 과정에서 시작된다. IIT 입학시험(JEE)의 합격률은 1% 수준에 불과하다. MIT 합격률이 8%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치열한 입시 경쟁을 짐작할 수 있다. 정부는 IIT의 학생 및 교수 선발 과정에 개입하지 않는다. IIT 설립 직후 제정된 특별법에 따라 대학 자율성을 보장받기 때문이다. “가장 우수한 학생을 세계 최고 수준의 교수진이 가르친다”는 차우두리 교수의 설명은 과언이 아니다.
‘입시 바늘구멍’을 통과한 학생은 IIT의 실전형 교육을 경험한다. 미국 실리콘밸리 등의 글로벌 IT 기업이 IIT 내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학교가 캠퍼스 안에 연구단지를 조성해 기업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이어온 덕이다. 차우두리 교수는 “산학 협력 강화는 지난 수십 년간 IIT가 가장 공들인 부분”이라며 “학생이 기업으로부터 의뢰받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그 과정에서 개발한 지식재산권(IP)을 기업에 판매하는 등 현장 감각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고 설명했다.
IIT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대비해 발 빠르게 체질 개선에 나섰다. 차우두리 교수는 “AI 인력 수요가 빠르게 늘어 AI 관련 과목을 대거 신설했다”고 전했다. IIT가 제공하는 AI 교육의 핵심은 실습이다. 대부분 과정에서 학생이 직접 프로젝트를 맡아 AI를 사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수업을 할 때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온라인 강의에서도 학생이 몰입감 있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졸업생과 재학생의 강력한 유대도 IIT의 경쟁력이다. IIT의 동문 네트워크는 끈끈하기로 유명하다. IIT 졸업생은 스스로를 ‘아이아이션(IITian)’이라고 부르며 강한 소속감을 나타낸다. 차우두리 교수는 “실리콘밸리에서 성공한 IIT 출신들이 재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상담을 하면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기회를 자주 마련한다”며 “이를 통해 학생은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소통과 협상 능력 같은 ‘소프트 스킬’을 기를 수 있다”고 했다.
차우두리 교수는 한국의 공과대학 교육 시스템에 대해 단기간 이룬 성장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더 발전할 여지가 있다”며 아쉬움을 표현했다.
그는 “지난 60년간 한국 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것은 우수한 인력을 양성한 대학 덕”이라면서도 “한국 교육 생태계는 글로벌 대학과 비교해 다소 내향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IIT는 학문적 엄격함을 유지하면서 기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해외 대학 및 기업과의 협력을 중시한다”며 “한국 대학도 더 개방적이고 국제적인 시각을 지닌 교육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