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어서대피, 전국이 주목한 경북형 재난대응체계

입력 2024-09-26 15:34
수정 2024-09-26 15:36

<i>행정안전부가 26일 주재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회의에서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이 마을순찰대 등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을 우수사례로 발표했다. 경상북도 제공.</i>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발생한 산사태로 경북에서는 지난해 7월 예천 봉화 영주 등에서 29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1162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사상 최대의 자연 재난사고였다. 하지만 올해 안동과 영양 등지에 쏟아진 폭우에도 경북도에서는 인명피해와 이재민이 한 명도 없었다. 경북도가 올해 2만 명의 마을순찰대 중심으로 만든 주민주도형 재난대응체계 덕분이었다.

경북도는 26일 세종청사에서 행정안전부 주재로 열린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회의에서 마을순찰대 등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을 우수사례로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4개 지자체가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경북도는 올해 ‘마~어서대피’라는 슬로건으로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을 만들었다. 마을순찰대와 어둡기전에 서둘로 대피소로 피하자는 내용이었다.

이날 사례를 발표한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은 “시간당 최고 100㎜이상의 폭우 속에서 새벽에 주민을 갑자기 대피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마을 이통장을 중심으로 해지기전(12시간전)에 미리 대피하는 체계를 주민주도로 만든 게 통했다”고 발표했다.

마을순찰대는 마을 지형과 수리에 밝은 이 통장,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등 주민 주도로 경북도내 222개 시군 5189개 마을에 2만명으로 구성했다. 새벽 시간대 이통장이 잠을 자지않도록 하기위해 연락체계를 유지하는 공무원 4000명도 함께 일했다. 결국 산사태가 우려되는 폭우 속에 2만4000명의 마을순찰대가 ‘잠들지않는 경북’을 만든 것이다.

주민들이 사전에 대피소로 자진해 대피하는데는 경북도의 대피소 프로그램도 한 몫했다 기존의 불편하고 지루한 대피소가 아니라 치킨 등 각종 간식을 제공하고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해 유익한 시간으로 보내도록 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갈수록 심화되는 기후위기 속에서 전국 최초로 주민 자조조직이자 재난대응 상비군인 마을 순찰대가 어떤 재난 속에서도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늘 깨어있는 체계를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오경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