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훨씬 일찍 개발됐다. 일회용 전기차는 1834년 등장했지만, 현대적인 의미의 전기차는 2005년이 돼서야 출시됐다. 이후 10년 만에 급격한 성장을 이뤘다. 탄소중립과 친환경 시대가 도래하면서 막대한 인프라 투자가 이뤄진 덕이다.
하지만 시대 흐름에 부합해도 전기차만큼의 부흥을 누리지 못하는 산업이 다수 존재한다. 이들은 미래 성장을 견인할 가능성이 충분히 예상되지만, 정부의 정책 지원과 제도적인 기반 없이 자생적으로 성장을 기대하기는 무리다.
식량안보와 탄소중립, 개인 맞춤형 소비 같은 새로운 흐름에 발맞춰 부각되는 식물성 단백질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대표적 사례다. 푸드테크와 스마트팜 기술은 글로벌 10대 첨단 기술 트렌드로 손꼽힐 정도로 고성장이 기대된다.
국내에서는 여러 기업이 학계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부처 등과 협력해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관련 생태계 구축에도 열심이다. 신세계푸드, 풀무원, CJ제일제당, 롯데웰푸드 등 대기업부터 소규모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기업이 식물성 대안식품이 대중화될 수 있도록 여러 사업을 하고 있다.
식물성 식품 브랜드 ‘지구식단’을 보유한 풀무원은 지난 2월 전북특별자치도와 식물성 대안 식품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고, ‘플랜테이블’을 운영 중인 CJ제일제당은 최근 조계종과 공동 개발한 사찰식을 선보였다. 롯데웰푸드는 식물성 대안육 브랜드 ‘제로미트’를 내놨다.
식물성 대안식 ‘유아왓유잇’을 통해 대안식품 사업을 펴고 있는 신세계푸드는 최근 수입 밀 대신 가루쌀로 만든 대안유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국내 쌀 농가에는 안정적인 소득을 보전하고, 식량안보를 지킬 뿐 아니라 유당불내증으로 불편함을 겪는 소비자에게는 새로운 음료 선택권을 제공하고 있다.
지자체의 인프라 투자도 늘고 있다. 익산시는 지난 4월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설립을 결정했다. 포항시는 최근 ‘한국푸드테크협의회 경북·대구지회’ 발족식을 열었다.
하지만 식물성 식품산업이 수출산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선 중앙 정부의 더욱 적극적인 지원과 제도적인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푸드테크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22대 국회에서 21대 국회에 이어 재발의돼 있다. 푸드테크산업은 미래 먹거리산업의 핵심이 될 분야이기에 미래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동 법안의 조속한 통과가 절실하다. 푸드테크산업도 적극적인 지원을 받는다면 전기차처럼 이른 시일 안에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