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뜩이나 더워서 힘든데…물가까지 높이는 '최악의 이상기후'

입력 2024-08-19 12:25
수정 2024-08-19 13:43

고온 등 이상기후 현상이 최근 물가상승분의 10% 가량을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각종 농산물 작황 악화로 가격이 오른 영향이다. 이상기후는 산업생산에도 악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이상기후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정원석 전북본부 기획조사팀 과장과 이솔빈·조은정 조사역이 2001∼2023년 우리나라 이상기후지수(CRI)와 산업생산, 소비자물가상승률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이상기후가 성장(산업생산)은 낮추고 물가는 더 끌어올린 것으로 추정됐다.

CRI는 5가지 요인(이상고온·이상저온·강수량·가뭄·해수면높이)을 바탕으로 기준기간보다 얼마나 이상기후 정도가 심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미국과 캐나다 계리학회가 미국, 캐나다의 이상기후 및 해수면 자료를 이용해 만든 월간 지표인 ACI의 방법론을 참고해 만들었다.

이번 연구에서 이상기후 충격은 발생 시점으로부터 약 12개월 뒤 산업생산 증가율을 0.6%포인트 깎아내렸다. 산업별 국내총생산(GDP)을 보면, 농림어업 GDP는 1.1%포인트, 건설업 GDP는 0.4%포인트 하락했다.

반대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충격 후 약 3개월 만에 0.03%포인트 더 높아졌다. 물가 품목별로는 식료품, 과실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과의 교역 비중 등을 활용해 수입을 통한 대체 효과를 배제하면, 이상기후에 따른 인플레이션 추가 상승 폭은 0.08%포인트까지 커졌다. FTA가 그나마 이상기후에 따른 악영향을 보완한 셈이다.

1980∼2000년 시기보다 최근(2001~2023년) 들어 이상기후가 성장·물가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지속성이 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2023년 이후 월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이상기후가 평균 약 10%를 차지했다.

지역별로 CRI 특징(2001∼2023년)을 나눠보면 이상고온은 강원·충북·제주, 강수량 증가는 경남·전남·부산·제주, 가뭄 심화는 전북·충북·강원 등에서 뚜렷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