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대중이 클래식을 즐길 수 있게 다양한 방식의 노력과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El Sistema)’는 중남미의 대표적 무상 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 우리 음악계에도 낯설지 않은 이름이다.
중남미의 많은 나라가 직면한 문제 중 하나가 빈부 격차와 불평등이다. 베네수엘라는 중남미에서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했지만, 석유 수출을 기반으로 한 수입은 일반 국민에게까지 미치지 못했다. 그로 인해 소수의 부유층과 다수의 빈곤층이라는 이중적인 사회 구조가 고착됐다. 계층 간 이동이 어려워지면서 젊은 세대의 사회에 대한 반감과 분노가 커져 범죄로 빠지는 악순환이 계속됐다.
엘 시스테마는 이렇게 사다리를 잃어버린 저소득층을 비롯한 소외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무상으로 음악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이다. 시작은 197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 제안한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는 경제학자였지만 관현악단의 바이올린 주자로 활동했으며 작곡 및 지휘까지 하는 애호가 수준을 넘어선 인물이었다. 베네수엘라의 경제적 불평등 완화에 고민하던 그는 음악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했다. 그는 음악이 ‘가진 자’의 전유물이 돼서는 안 된다고 믿었다.
아브레우는 두 가지 방향에서 자신의 신념을 현실로 옮기고자 했다. 우선 클래식의 대중화였다. 가난한 거리의 아이들이 음악을 배우고 악기를 경험하면서 자신을 사랑하고, 범죄나 마약 등 어두운 경로로 빠지는 것에서 벗어나길 기대했다. 다른 하나는 엘리트 음악교육의 개혁이다. 전문 연주자가 되고자 하지만 재정적 어려움으로 꿈을 포기해야 하는 저소득층 청소년에게 기회를 주고자 했다.
이 프로젝트는 우여곡절 끝에 정부에서 대규모 재정 지원을 받았다. 보조금을 기반으로 현재의 무상 음악교육 시스템을 갖췄다. 지역마다 ‘누클레오’라는 음악 교육센터가 세워졌고, 이를 통해 각지에서 관현악단이 생겨났다. 음악을 가르칠 교사가 고용됐고, 연주를 위한 악기와 교보재 등이 보급됐다. 연주를 배우는 모두에게 악기가 무상으로 제공됐다. 현재까지 약 90만 명의 어린이와 청소년이 이 프로그램의 수혜자로 참여했다. 저소득층과 소외된 이들에게도 클래식 문화를 개방한 사례다.
음악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아브레우의 노력은 국제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비슷한 사회적 문제를 지닌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나라가 앞다퉈 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미국에서도 ‘엘 시스테마 USA’가 설립됐고, 한국에서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이와 유사한 ‘꿈의 오케스트라’를 설립·지원했다. 아브레우는 2010년 서울평화상을 수상했다.
이런 영광 뒤에는 논란과 스캔들이 없지 않았다. 엘 시스테마가 우고 차베스 정부를 홍보하는 문화적 도구로 활용됐다는 비판을 받았다. 설상가상 베네수엘라 경제 상황이 악화하면서 국고 지원에 상당 부분 의존한 엘 시스테마도 위기를 맞았다.
그렇다면 엘 시스테마는 끝난 것인가? 엘 시스테마를 통해 세계적인 지휘자로 우뚝 선 구스타보 두다멜은 “그렇지 않다”고 강조한다. 엘 시스테마 정신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다. 두다멜이 언급한 엘 시스테마 정신은 이 프로그램 자체의 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아닐지 모른다. 음악의 사회적 역할과 소외계층을 위한 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한다면 엘 시스테마라는 특정 프로그램이 강조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시스템화가 지구 곳곳에서 계속되는 한 엘 시스테마는 끝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