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이 추락하던 출생아 수가 지난 5월까지 두 달 연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수가 많은 1990년대 초반생의 혼인 증가, 지방자치단체 지원 등의 영향으로 결혼 건수도 두 달째 늘었다. 다만 출산과 결혼 증가가 일시적 반등이 아니라 추세적 흐름으로 굳어질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두 달 연속 출생아 증가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4년 5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5월 출생아는 1만9547명으로 작년 5월보다 514명(2.7%) 증가했다. 4월(2.8%)에 이어 출생아가 2개월 연속 늘었다. 출생아가 두 달 연속 증가한 것은 2015년 11월 이후 8년6개월 만이다.
코로나19가 수습된 후 결혼 건수가 회복되며 출생아가 자연스럽게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 결혼한 부부가 첫 아이를 출산하기까지는 2년 정도 걸린다. 코로나19 이후 2022년 결혼한 신혼부부가 출산하는 시기가 올해라는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2년 8월부터 8개월 연속 혼인 건수가 늘어난 게 출생아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월별 출생아는 1월 2만1442명을 기록한 뒤 여전히 2만 명대를 밑돌고 있다. 1~5월 누적 출생아 수(9만9070명)도 역대 최소치다. 작년 1~5월(10만2029명)보다 2959명(2.9%) 감소했다.
결혼 건수 증가폭은 더 컸다. 5월 결혼 건수(2만923건)는 1년 전보다 3712건(21.6%) 늘며 2만 건을 넘었다. 4월(24.6%)에 이어 2개월 연속 20%대 오름세다. 1~5월 누적으로도 9만3117건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7474건(8.7%) 증가했다. 코로나19로 미룬 결혼을 재개하고 있는 데다 한 해 60만~70만 명이 태어난 1990년대 초반생(30대 초중반)의 혼인이 집중적으로 이뤄진 결과로 분석된다. 지방자치단체의 결혼 장려 정책도 일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국 특별시와 광역시 중 유일하게 결혼지원금(부부 합산 500만원)을 지급하는 대전은 5월 결혼 증가율이 50%를 넘어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았다”고 설명했다. ○올해 출생아 저점 가능성다만 올해 출생아는 작년(23만 명)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1분기 출생아 감소폭(-6.2%)이 워낙 컸던 탓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 증가가 하반기 출산 증가로 이어지지 않을까 싶다”면서도 “하반기 출생아 수가 크게 늘어야 전년과 비슷하거나 증가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장기적인 저출생 반전의 모멘텀이 형성됐다고 보기는 아직 어렵다”고 평가했다.
올해 출생아 수가 저점을 찍고 내년부터 반등할 것이란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낸 홍석철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작년 1분기 결혼 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과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부 정책이 맞물려 최근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저출생 대책을 최대한 빨리 시행해 청년과 부부에게 믿음을 주면 출생아 수는 올해 바닥을 찍고 내년에 반등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형환 저출산위 부위원장은 이날 통계청 발표에 대해 “추세 반전을 예단할 단계가 아닌 만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비롯한 관계부처는 이런 모멘텀을 계속 살려 나갈 것”이라며 “인구전략기획부 신설과 지난 6월 발표한 저출생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