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뜨거워진 지구의 미래, 2100년엔…" 무서운 경고

입력 2024-06-21 06:53
수정 2024-06-21 07:23

온실가스를 지금처럼 배출해 기온이 상승한다면 지구의 온도를 결정하는 바다의 68%도 연중 폭염에 노출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 연구팀은 21일 국제학술지 '지구의 미래'(Earth's Future) 최신호에 실린 논문에서 이같이 전했다.

연구진은 2100년 탄소 배출량이 지금의 두배가 되는 고탄소 시나리오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저탄소 시나리오(SSP1-1.9)에 따른 평균 해수면 온도 변화를 비교했는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2071∼2100년 평균 해수면 온도는 1985∼2014년 평균 대비 최대 2.70도 상승했다. 반면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세기말 해수면 온도 상승 폭이 0.53∼0.61도로 줄었고, 2050년대 이후에는 해수면 온도가 거의 오르지 않았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면 해양열파 현상이 큰 폭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것.

해양열파는 닷새 이상 평년보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해수면 온도를 기록하는 현상을 일컬어, 일명 '바다의 폭염'이라 불린다. 바다는 비열이 크고 밀도가 높아 대기보다 1000배 많은 열을 함유해 실제로 지구의 온도를 결정한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지 않는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전 세계 바다의 68%가 일년내내 해양열파에 노출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양별로 보면 인도양은 93%, 태평양은 76%, 대서양은 68%가 영구적인 해양열파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이 비율이 0.02∼0.07%로 줄어들었다.

연구진은 기후가 경제보다 긴 기간에 걸쳐 인류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가 간 협력을 강조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