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엔터 기업 세계화는 신기루였나

입력 2024-05-10 18:16
수정 2024-05-11 02:27
▶마켓인사이트 5월 6일 오후 6시 38분

K콘텐츠 분야의 국내 대표 기업이 최근 수년간 수천억~수조원을 주고 세계적인 콘텐츠·엔터테인먼트 기업을 경쟁적으로 사들였다가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라라랜드 제작사, 아리아나 그란데 소속사 등 명성과 영향력을 믿고 거액을 투자했지만 대부분 실적 악화에 시달리고 핵심 자산인 전문인력도 이탈하는 양상이다.

K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지만 글로벌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 분석 능력과 인수 후 관리(PMI) 역량을 더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한국경제신문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콘텐츠 기업의 1000억원 이상 크로스보더(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 거래를 모두 조사한 결과 총 8곳 중 6곳이 지난해 적자를 냈다. 경영 상황도 대부분 인수 당시보다 나빠졌다.

CJ ENM이 9200억원을 투입한 미국 영화 제작사 피프스시즌은 지난해까지 이어진 미국 할리우드 작가와 배우들의 파업 여파로 사실상 운영이 멈췄다. 지난해 적자만 1179억원에 달했다. 하이브가 1조515억원에 인수한 이타카홀딩스도 핵심 아티스트의 이탈설이 나오며 내홍을 겪고 있다. 네이버가 6974억원에 사들인 북미 1위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와 카카오가 7809억원을 투입한 래디시·타파스미디어도 실적 악화에 고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형 인수합병(M&A)으로 인한 후유증이 단기에 해소되진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뚜렷한 유형자산이 없는 콘텐츠 기업 인수는 M&A와 향후 관리 측면에서 난도가 높은 분야로 꼽힌다.

한 글로벌 투자은행(IB) 한국대표는 “투자에 실패했다고 ‘해외 M&A 포비아(공포)’에 빠지기보다 이를 자양분 삼아 면밀한 산업 분석 능력을 갖추고 현지 기업에 적합한 인수 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M&A 경쟁력을 키우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차준호/하지은 기자 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