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도시계획을 통해 에너지 사용을 상황에 맞춰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단법인 미래탄소중립포럼은 지난달 28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건축·도시계획’ 세미나를 열고 인천지역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1일 밝혔다.
김정곤 베타랩 도시환경연구소장이 이날 ‘탄소중립도시 현황과 미래’에 대해 설명했다. 온난화 문제해결을 위해 유럽 선진국의 정책 방향과 테스트베드 사례, 분야별 적용방안을 소개한 데 이어 탄소중립도시 전략으로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공간 계획을 제시했다.
이은엽 LH(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단장이 제2 주제로 ‘탄소중립을 위한 도시계획방안’에 대해 강의했다. 이 단장은 도시계획 관점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도시기본계획 등 상위계획 반영과 탄소배출 최소화를 위한 토지이용계획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명주 명지대학교 교수는 ‘건축물 중심의 탄소중립도시’란 제3주제 발표를 통해 건축 및 도시의 탄소 배출량은 전체 40%로 에너지와 산업 다음으로 많다고 했다. 이 교수는 "탄소중립을 위해 건축물 관리가 중요하다"며, "건축물 중심의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로드맵과 방향, 제로에너지 도시 개념과 정책적 개선방안으로 도시 내 부문별 정확한 탄소 배출량 예측과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승우 미래탄소중립포럼 상임대표가 좌장으로 한 토론회에서는 서울대 송재민 교수, 유영석 인천상공회의소 실장, 이인제 인천연구원 박사, 운세형 iH인천도시공사 소장, 윤영호 한국주거학회 원장이 패널로 참석해 건축물의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송재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탄소중립도시 계획 및 사업 이행을 위해선 탄소 전 과정 관리가 중요하다”며 “온실가스 저감 및 저장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 수단의 기술, 정책 및 경제적 타당성과 효과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영호 한국주거학회 주거연구원장은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해 공간과 사람, 사람과기술, 공간과 기술의 통합 등 협력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탄소중립도시에서 제로에너지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환정책에 국민들의 동참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유오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