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위기의 K리걸테크 한경만 심도 있게 다뤘다"

입력 2024-03-27 18:25
수정 2024-03-28 00:42

한국경제신문 독자위원회 2024년 1차 회의가 지난 26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독자위원들은 종이 매체 선호도가 낮아지는 가운데서도 한경의 신규 구독자가 순증하는 현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어 1~3월 한경이 보도한 ‘의료대란’ 기사를 포함해 ‘디지털 휴이넘’ 시리즈 등 기획성 기사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박병원 한경 독자위원회 위원장(전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주재로 김도영(서강대 경제학부 교수)·김우경(SK수펙스추구협의회 PR담당)·김예진(서울대 경제학부 학생)·박종민(한국언론학회장·경희대 미디어학과 교수)·신재용(서울대 경영대학 교수)·이창재(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정준형(하나은행 소비자보호그룹장)·조성우(의식주컴퍼니 대표)·하주호(SPC그룹 커뮤니케이션 수석부사장) 위원 등이 참석했다. ○“구독자 순증, 한경 경쟁력 보여줘”위원들은 한경의 신규 구독 부수가 1월 5000부를 돌파하는 등 성장세를 보인 것이 특징적이라고 짚었다. 하주호 위원은 “숏폼 등 짧은 시간 안에 소화할 수 있는 콘텐츠가 늘어나면서 호흡이 긴 문장을 읽는 사람은 점점 줄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구독자 순증은 굉장히 유의미한 지표”라고 말했다.

급변하는 경제 현안을 이해하기 쉬우면서 자세하게 풀어 경제신문으로서의 책무를 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우경 위원은 “올해 부동산 개발 규제 완화와 재산세·종합부동산세 개편 등 굵직한 경제 이슈가 많다”며 “투자 노하우 등에 앞서 경제 이슈를 배우고 싶다는 니즈가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창재 위원은 “독자들이 경제신문에 기대하는 것은 정파 논리에 휩쓸리지 않고 국내외 경제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이라고 말했다. ○‘한경의 시각’ 담긴 기사 호평
위원들은 한경만의 인사이트가 담긴 심층 분석 기사가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1월 비대면 진료 플랫폼과 제휴를 맺는 약국이 급증했다는 내용을 다룬 기사가 대표적이다. 전공의 집단행동 여파로 비대면 진료 허용 범위가 확대돼 약 처방 수요가 늘자 비대면 진료에 대한 약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게 기사의 요지다. 조성우 위원은 “단순히 의료대란의 현황뿐 아니라 이에 따라 나타나는 의료계의 변화를 짚어준 점이 흥미로웠다”며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의 동향을 자세하게 담은 곳은 한경밖에 없다”고 호평했다.


이창재 위원은 지난 7일 자 ‘위협받는 K리걸테크’ 시리즈 기사에 대해 “한국 법률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뤄서 놀랐다”고 평했다. 이 위원은 “생성형 인공지능(AI) 법률 서비스가 등장하며 로펌업계와 일선 변호사들이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지 세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무너지는 대학원’ ‘취업준비원 된 대학들’ 등 교육 관련 시리즈에 대한 호평도 나왔다. 신재용 위원은 “지금 학교 현장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자세하게 취재한 점이 좋았다”며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해 10년 뒤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을지 내다보는 후속기사까지 마련하면 좋을 것”이라고 주문했다. 김예진 위원도 “문과대학 학생들이 과열된 경쟁 속에서 취직을 준비하는 현실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고 평했다. ○“경제 문제 보도, 정교한 논리 갖춰야”상속세·배당 문제 등을 다룰 때는 더 설득력 있는 근거와 논리를 정교하게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내놨다. 신재용 위원은 지난달 4일 자 경영권 방어제도 추진을 다룬 기사와 관련해 “경영권 방어 장치가 강화되면 기업들의 투자와 배당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주장은 학술적 근거가 부족하다”며 “경영권 방어 장치 강화가 기업 밸류업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통계 자료 등을 토대로 정교하게 설명해야 했다”고 짚었다.

기업 활동을 규제·지원하는 정부 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비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잇따랐다. 김도영 위원은 “정부가 내놓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핵심인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내용이 없다”며 “밸류업을 시작한 기업들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밸류업 프로그램의 실효성도 기사를 통해 자세히 분석하면 좋겠다”고 평했다. 정준형 위원은 경제 이슈에 대한 해결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도 경제신문의 역할이라고 짚었다. 그는 “금융회사가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을 어떤 기준으로 배상하면 좋을지 가이드라인을 주면 좋겠다”고 밝혔다.

포퓰리즘과 얽힌 경제 문제에는 한경이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에 앞장서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전 국민에게 25만원의 민생지원금을 지급하겠다는 공약에 대해 박병원 위원장은 “경제를 살리려면 투자 확대가 정공법인데 실패한 소득주도성장론, 돈 풀기 처방이 포퓰리즘에 올라타 다시 물 위로 떠 오르는 문제를 한경이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아 아쉽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한경의 사외이사 실태 분석 시리즈와 은행의 ‘과도한 이익’ 등을 다룬 기사는 실상에 근거하기보다는 당시 사회 분위기에 휩쓸린 측면이 적지 않아 보인다”고 덧붙였다.

박종민 위원은 “여야가 앞다퉈 다자녀, 3자녀 이상 가구에 선심성 지원을 하는 식으로 저출생 대책 공약을 내놓고 있다”며 “저출생 대책은 첫 아이 낳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그 부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거들었다. 김도영 위원도 “총선을 앞두고 각 당에서 발표하는 경제 정책 관련 공약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실현 가능성 등을 정리하면 독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조성우 위원은 문과생 경쟁력 약화 등 사회 이슈의 이면에 담긴 내용까지 심층적으로 취재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조 위원은 이달 3일 자 8대 전문직 쏠림 현상을 다룬 기사와 관련해 “테크 중심 사회에서 문과생의 입지가 좁아진 것은 맞지만 이들의 능력이 무용지물이라는 논지에는 동의하기 어렵다”며 “기업 운영에는 여전히 문과생의 기획력과 창의성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MZ세대 의사들의 분노에 대한 심층 분석을 해달라(신재용 위원) △로또 청약 등 경제 이슈에 대한 과도한 단순화를 지양하라(김도영 위원) △‘세계 도시는 문화 전쟁 중’ 시리즈에서 실패 사례를 다뤄달라(박병원 위원장)는 등의 주문도 있었다.

■ 한경 3기 독자위원

● 위원장
박병원 前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 위원
김도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김예진 서울대 경제학부 4학년
김우경 SK수펙스추구협 PR담당
박종민 한국언론학회장
신재용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이창재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정준형 하나은행 소비자보호그룹장
조성우 의식주컴퍼니 대표
하주호 SPC그룹 수석부사장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