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계획'의 일환으로 한국이 만든 큐브위성을 달에 보내주겠다고 제안했으나, 정작 한국 정부가 예산이 없다며 거절해 최종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복수의 우주 분야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10월 말 한국을 비롯한 아르테미스 계획에 참여하는 국가들에 현재 개발 중인 우주 탐사선 '아르테미스 2호'에 각국의 큐브위성 탑재를 제안했다.
큐브위성은 초소형 꼬마 위성으로, 가로·세로·높이가 모두 10㎝ 남짓의 크기를 갖췄다. 과거에는 교육용으로 활용돼 왔으나, 최근 초소형 위성의 성능이 좋아져 달이나 화성 탐사에도 쓰이고 있다.
NASA는 우주비행사를 싣고 달 궤도를 도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아르테미스 2호에 여분의 공간이 확보되자 협력 강화를 위해 각국 기관이나 기업에 달 탐사용 큐브위성을 싣는 프로젝트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 100억원의 비용과 함께 큐브위성을 제작해 조달하면, 이를 달에 보내주겠다는 것이다.
우주 분야 한 관계자는 "큐브위성의 크기 등을 알아야 하나, 달에 위성을 보내는 예산으로는 비싸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제안을 받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간이 촉박해 예산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NASA에 참여가 어렵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예산안이 이미 국회에 제출된 상황이라 과기정통부에서 국회에 추가 예산을 제안했지만 결국 국회에서 최종 예산 반영이 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우선순위상 다른 것들이 많아 최종 반영이 못 된 것 같다" 설명했다.
이에 우주 산업계에서는 정부가 미국 등 주요국과 우주 협력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예산 반영 등에는 미온적 태도를 보이며 아르테미스 계획을 비롯해 천문학 개발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우주기업 한 고위 관계자는 "20년 전 미국이 국제우주정거장(ISS)을 만들 때도 한국이 예산 문제로 참여하지 못했는데, 여기에 참여한 캐나다는 우주정거장 로봇팔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을 가지게 됐다"며 "이런 기회를 계속 놓치면 미국이 지정하는 우주 분야 '티어1'(최상위) 그룹에 낄 기회가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주 해외 출장길에 오른 조성경 과기정통부 1차관이 NASA와 만나 아르테미스 참여 확대를 논의한다고 밝혔으나, 구체적 협력 계획은 나오지 못할 거란 지적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국내 6개 대학 우주항공 학부 연합체인 '천문우주항공 분야 유관 학과 공동행동'의 조현서 의장(연세대 천문우주학과)은 "소통 없는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으로 천문 및 우주과학계 사기와 의지가 떨어진 상황에서 이런 소식은 정부에 대한 학생들의 신뢰를 더욱 저하한다"며 "정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우주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겠다는 주장과 다르게, 현장에서는 이런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