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명품백 갈등이 불지핀 '한동훈 사퇴론'…윤 대통령 의중 반영된 듯

입력 2024-01-21 20:55
수정 2024-01-22 01:30

대통령실과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사진) 사퇴 요구의 명분으로 ‘공천 잡음’을 언급하고 있다. 한 위원장이 같은 비대위원인 김경율 회계사를 서울 마포을에 공천하겠다고 밝히자 “애초 약속한 시스템 공천과 거리가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권에서는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논란과 관련된 한 위원장의 최근 입장 표명이 윤석열 대통령의 심기를 건드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동훈 사퇴 요구 배경은지난 16일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가 공천룰을 발표한 이후 여권 내에서 ‘한동훈 비대위’에 대한 불만이 제기됐던 것은 사실이다. 3선 이상 중진 의원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내용이 담겼기 때문이다. 한 위원장이 김 회계사를 마포갑,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을 인천 계양을에 공천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공천 방향에 대한 비판은 더 커졌다.

하지만 이 같은 논란이 비대위원장 사퇴를 주장할 정도는 아니라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통상 유감을 표명하는 정도로 수습할 수 있는 문제라는 것이다. 한 위원장도 “지역 당협위원장과 함께 김 회계사도 경선을 거치는 만큼 특혜가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사퇴론에 불을 지핀 것은 명품백 논란에 대한 한 위원장의 발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는 지난주부터 “국민이 걱정할 만한 부분이 있다”(18일), “국민 눈높이에서 생각할 문제”(19일)라고 했다. 이상민 하태경 의원 등이 김 여사의 사과를 주장하자 한 위원장은 “국민의힘은 다양한 의견을 가진 사람이 모인 곳”이라며 옹호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에 20일부터 친윤계 인사들이 일제히 사과론에 반대하고 나섰다. 장예찬 전 최고위원은 유튜브 채널에서 “김 여사는 사기 몰카 취재에 당한 피해자”라며 “왜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피해자보고 사과하라고 하는 것인가”라고 했다. 이용 의원도 단체대화방에서 “(김 여사가) 사과하면 선거 망치는 길이며, 이런 마타도어에 속으면 안 된다”며 “사과를 하는 순간 더불어민주당은 들개들처럼 물어뜯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尹, ‘덮고 갈 수 없다’ 생각”이 같은 친윤계 인사들의 움직임에는 윤 대통령의 의중이 실린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대선에서 윤 대통령의 수행팀장을 맡았던 이용 의원은 대통령의 뜻을 당에 전하는 메신저 역할을 해왔다. 특정 이슈에 대해 의원들의 의견이 엇갈릴 때마다 의원총회에 발언자로 나서 준비한 원고를 읽는 방식으로 대통령실의 기류를 알려왔다.

한 위원장 사퇴 요구를 이관섭 대통령 비서실장이 직접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 위원장에 대해 윤 대통령이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대통령실 내에도 아무 갈등 없는 것처럼 넘어가는 데 대한 문제의식이 있다”고 전했다. 명품백 논란을 ‘몰카 공작’에 따른 결과로 규정하고 있는 대통령실 입장에서 김 여사의 사과를 요구하는 듯한 한 위원장의 움직임을 두고 볼 수 없었다는 것이다. 여당 내 권력투쟁으로 번지나한 위원장이 계속 사퇴 불가 방침을 고수할 경우 친윤계 의원들은 의원총회를 소집해 사퇴를 요구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한 위원장을 사퇴시키고 총선은 윤재옥 원내대표의 권한대행 체제로 치른다는 것이다.

한 위원장이 사퇴를 끝까지 거부할 경우 현실적으로 끌어내릴 방법은 없다. 최근 여권 지지자를 중심으로 한 위원장 지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비대위원장 사퇴가 현실화할 경우 총선에 미치는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검사 시절부터 인연을 쌓아온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정치적 결별을 넘어서는 수준의 파국을 맞게 된다. 한 여당 의원은 “명품백 문제로 한 위원장을 쫓아낼 경우 당은 회복 불능 상태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확전’ 여부는 윤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한 위원장에게 단순히 경고하고 가려는지, 실제로 끌어내리고 싶은 것인지는 현재로선 판단하기 어렵다”며 “한 위원장이 당 안팎의 반발에 사과하거나 입장 변화를 표명하는 것 정도로 사태가 정리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노경목/도병욱/박주연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