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약 7400억원을 들여 대통령 전용헬기를 교체한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7년 도입돼 16년째 쓰고 있는 노후 전용헬기 세 대를 교체하기 위한 사업이다. 대통령 전용헬기는 국내 단거리 이동에 주로 투입돼 ‘하늘의 미니 집무실’로 통한다. 새 헬기는 차기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에 인도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위사업청은 29일 방위사업추진위원회 회의를 열어 대통령 전용헬기를 확보하는 ‘지휘헬기-Ⅱ’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방사청은 “적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이 보장된 신규 지휘헬기를 도입해 안정적인 지휘 임무를 할 것”이라며 “사업 기간은 2024~2030년, 사업비는 약 7400억원”이라고 밝혔다.
현재 대통령 전용헬기는 2007년 11월 도입된 미국 시코르스키의 ‘VH-92’다. 같은 제작사의 대형 헬기 S-92를 귀빈(VIP)용으로 개조했다. 각종 무기로부터 방어하는 데 필요한 레이더 경보수신기와 적외선 방해 장치, 미사일 추적 기만장치 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통령 전용헬기는 통상 약 10년마다 교체된다.
후보 기종은 프랑스 에어버스의 H225M, 미국 벨의 벨525, 이탈리아 레오나르도의 AW101, 미국 록히드마틴의 S-92A+ 등이다. 국내 업체 중에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군용헬기를 만들지만, 대통령 전용헬기는 단 세 대만 운용되는 점을 감안해 국내 개발 대신 해외 구매로 결정됐다. 규모의 경제를 고려해서다.
경호에 필요한 첨단 장비를 국내 독자 기술로 제작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KAI 관계자는 “VIP용 헬기는 방호를 위한 특수 설비가 많아 주로 대형 헬기로 제작된다”며 “KAI는 중형 헬기까지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용헬기는 대통령이 탑승하는 헬기를 빼고 나머지 두 대가 ‘위장헬기’로 운용된다. 같은 기종의 헬기를 동시에 띄워 대통령이 어떤 헬기에 탑승했는지 구분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다. 대통령이 탑승한 헬기의 임무 활동이 어려울 때를 대비한 ‘예비기체’ 성격도 있다.
방사청 관계자는 “2025년께 입찰 공고를 내고 제안서 평가와 시험평가 등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전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