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빛을 더 찬란하게 땅으로 흩뿌리는 예술, 스테인드글라스화다. 스테인드글라스는 유럽 예술의 시들지 않는 꽃이었다. 중세시대엔 문맹률이 높았던 탓에 성경 속 장면들을 표현하는 데 집중했고 2000년 전후론 추상의 영역으로 경계가 넓어지며 진화했다. 그 과정에서 바뀌지 않는 것이 있었으니, 납선 기법이다. 색을 입혀 구워낸 유리를 자르고 두 장을 결합하는 스테인드글라스는 물감이 번져나가지 않는 정교한 선을 요구하기 때문에 동테이프로 경계를 나누고 그 안에 납을 부어야 했다.
천년 역사의 스테인드글라스 기법에서 ‘납선’을 뜯어낸 최초의 한국인 신부 화가, 유럽 38개국 45곳의 교회 풍경을 바꿔놓은 이가 있다. 김인중 베드로(83·사진)다. 유럽 내에선 마르크 샤갈, 앙리 마티스와 함께 ‘세계 10대 스테인드글라스 화가’로 꼽히는 그가 지난 14일 서울 명동 가톨릭회관 대강의실에서 ‘빛의 화가, 김인중 신부를 만나다’라는 주제로 강단에 섰다. “그림이 곧 기도였습니다. ‘영원한 빛’인 신을 찾는 작업을 하면서 어둠에 빛을 내리는 일을 해왔지요.”
김 신부는 서울대 미대와 대학원을 졸업한 후 스위스 프리부르대와 프랑스 파리가톨릭대에서 수학했다. 1974년 도미니크 수도회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뒤 수사 화가로 활동했고, 지금도 프랑스 보베 성당 등 다수의 스테인드글라스 작업을 하고 있다. 뿌리가 단단한 서양의 스테인드글라스 작업을 하면서 그는 납선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하는 동시에 화풍 역시 새롭게 창조했다. 수묵화에 쓰는 붓으로 유화 물감을 일필휘지 긋는가 하면 원색의 다양한 색채로 마티스와 보나르의 그림을 연상케 했다.
“나의 그림은 동양화도 아니고, 서양화도 아니고 ‘세계화’입니다. 그 뿌리는 나의 고향과 스승에게 있습니다. 부여를 휘감는 백마강의 빛과 동네 샘물에 비치던 반짝이는 햇살, 대학 시절 (그림을 잘 못 그리던 나의 데생을) 알아봐준 장욱진 선생님과 고등학교 미술 교사셨던 김철호 선생님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백마강이 나에게 수평의 선이었다면 우뚝 서 있는 ‘은진미륵’ 석상은 수직의 선을 알려준 셈이지요.”
그는 유럽 수도회 공방의 화가로 살며 윌리엄 터너, 클로드 모네, 앙리 마티스, 피에르 보나르 등의 작품도 깊게 탐구했다. 그들이 자연에서 뽑아낸 색채와 빛에 매료됐다. 김 신부의 작품이 설치되는 교회는 ‘꼭 가봐야 할 명소’가 되기도 한다. 브리우드 생줄리앙 성당은 작품 설치 후 미쉐린가이드 최고 평점인 별 세 개를 받고 프랑스 관광명소 100선에 선정됐다. “저의 그림으로 외로운 사람들의 마음을 보듬는 것, 그게 제 소명입니다. 우울증에 걸린 청년이 교회 안에서 1시간을 울고 갔다는 글, ‘빛을 받아 가기 위해’ 이 교회에 온다는 사람들로 충분하지요.”
2021년 KAIST 초빙 석학교수가 된 그는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 4층 천장에 ‘빛의 소명’을 영구 설치했다. 지난해 고향 근처 충남 청양의 버려진 연초공장에 동생인 김억중 건축가와 함께 ‘빛섬갤러리’를 열었다. 영국 노트르담수녀회 수녀로 평생 종교와 예술에 헌신한 미술사가 고(故) 웬디 베케트 수녀는 이렇게 썼다. “만약 천사가 그림을 그리신다면 김인중 신부처럼 그렸을 것이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