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는 경제적으로 양극화가 더 심해져 기업의 사회 참여가 절실해졌다. 그동안 기업 윤리의 모델로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중요성이 많이 알려졌는데, 어느 정도 그 개념이 기업에 자리 잡은 것 같다. 학계와 업계에서도 많은 토론회와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이제 ESG는 환경과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에 대한 기업의 자기 약속으로, 대기업부터 중소기업, 벤처까지 보편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ESG의 E는 주로 연구개발 혹은 공급망과 관련 있다. 환경 이슈가 세계적으로 중요성을 더해가므로 국가 차원이나 기업 차원이나 E를 강화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은 편이다. S는 사실 CSR(기업의 사회적 의무)의 연장이므로 기업마다 이미 친숙하다. G는 노사관계와 고용, 경영 투명성 등에 집중돼 있다.
각각의 축은 개별적으로 잘 수행되는 것 같지만, 기업의 ESG 보고서를 읽어보면 ESG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기업 내부의 ESG 프로세스와 조직구조를 많이 놓치고 있다. 우선 그 추진 배경과 목표 설정에서 최고경영자(CEO)의 의지, ESG 비전과 목표는 잘 돼 있으나 이런 비전과 목표를 구성원 개인의 목표와 연계하는 기업은 희소하다.
결국 조직 개개인의 성과 평가를 ESG와 연계해야 위에서 시켜서 추진하는 전략이 아닌, ESG의 원래 목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요즘은 ESG만을 전담하는 부서와 위원회가 늘어났는데, 이는 바람직한 현상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경영 활동과 ESG가 상호 공존해야 지속 가능한 ESG를 실천할 수 있다. ESG 추진 방향이나 세부 내용으로 G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소비자와 관련한 핵심적 내용이 많다. 예를 들면 제품과 서비스의 반품과 리콜, 공정거래 여부와 관련한 소비자 만족 외에 사업장 내 위험 작업에 관한 관리, 유해물질 법적 기준 내 배출, 기업이 물과 에너지 사용 여부와 관련한 품질·환경 경영, 그리고 최근 매우 중요해진 정보 보안, 인적·물적 보안 점검 등의 정보화 경영도 포함된다. 특히 유럽연합(EU)이 중시하는 제품 단위당 탄소배출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기업 내에 만들어야 한다.
무엇보다 ESG를 기획하고 추진하는 조직의 권한과 책임에 관한 사항이 명확하게 구분돼야 한다. CSR이 그러했듯 ESG의 많은 내용은 수입보다는 지출과 관련 있기 때문에, 기업 내부에서 입지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신문에 대기업도 직무 고충 관련 갈등이나 협력사와 관련한 잘못된 관행 등이 종종 보도되는데, 형식적 매뉴얼만 만들 것이 아니라 실제로 업무 만족도, 직장생활 만족도에 대해 정확하게 평가해야 한다. 특히 비정규직 직원은 조직 구성원으로서 상대적으로 여러 처우에서 소외될 수 있는데, ESG 성과를 살펴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비정규직 직원에 대한 처우도 중요한 요소다.
가격과 제품이 기업의 전통적 경쟁력이라면 기업 문화와 혁신성도 경쟁력으로서 중요해졌고, 이제는 기업이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 역시 중요한 시대다. 소비자뿐 아니라 종업원 역시 임금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업무 외 보람과 만족도를 중시하고 있다. 젊은 세대일수록 기성세대와 달리 가치를 중시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가치가 분명하지 않으면 경쟁력 있는 직원을 조직에 오래 붙잡아 둘 수 없다. 이는 비단 국내에서뿐 아니라 세계적 트렌드다. 기업은 이제 이를 고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