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는 惡"이라던 에르도안의 변심

입력 2023-09-07 18:05
수정 2023-09-08 01:42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사진)이 긴축(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연말까지 튀르키예의 전년 대비 물가상승률이 65%에 이를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그동안 물가가 고공 행진하는데도 통화완화 정책(금리 인하)을 고집한 것으로 유명하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수도 앙카라에서 한 연설에서 “금리 인상의 도움을 받아 물가상승률을 한 자릿수로 낮추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금리 인상에 대한 ‘평생의 적대감’을 버리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재정 규율보다는 포퓰리즘을 우선시하며 전통적 통화정책 방식을 ‘경멸’했다”고 설명했다.

튀르키예 정부는 이날 중기 경제 계획을 통해 “올 연말엔 전년 대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6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며 “통화, 재정 및 조세 정책은 물가 안정에 우선순위를 두고 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튀르키예의 물가상승률은 7월 47%, 8월 59%로 급등하고 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지난해 물가상승률이 80%를 웃돌 때도 아랑곳하지 않고 금리 인하를 옹호했다. “높은 차입 비용은 모든 악(惡)의 근원”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FT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결국 금리 인상으로 돌아선 것은 ‘5월 대통령선거 전의 시대’와 단절을 선언한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튀르키예 기준금리는 연 25%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