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해양데이터 수집·공유·분석 시스템 강화해야

입력 2023-08-23 18:22
수정 2023-08-24 00:13
해양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 자율운항 선박, 스마트 해운항만, 수중건설 로봇, 친환경 선박, 스마트 양식 등 해양 신산업 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장의 예상 연평균 성장률은 8.5%로 2030년에는 전 세계 시장 규모가 5000억달러에 육박할 전망이다.

미국, 영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은 해양 경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차세대 성장 동력원으로 해양 데이터 플랫폼을 전략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미국의 해양대기청(NOAA)은 60페타(peta)바이트 이상의 세계 해양환경 데이터를 수집 중이다. 1페타는 영화(2GB·2시간 상영분) 50만 편 정도의 용량이다. 최근엔 기후 데이터, 지리 데이터, 해양 데이터 등 기존 데이터센터를 국립환경정보센터(NCEI)로 통합해 고부가가치 환경·해양 데이터 수집 체계로 일원화했다.

영국해양데이터센터(BODC)는 1969년 국립자연환경연구원(NERC) 소속으로 설립돼 54년간 세계 해양 데이터를 수집·활용하고 있다. 일본 해상보안청(JCG)은 200여 종의 데이터(지형, 지질, 지리경계, 해양상태, 기상, 해양생물 등)를 담은 해양상황표시시스템을 구축해 적극 활용 중이다. EU도 유럽 해양 관찰 및 데이터 네트워크(EMODnet)를 통해 유럽 해역에서 수집되는 7개 분야(수심, 생물, 화학, 물리, 지질, 해저, 휴먼 활동)의 해양 데이터를 검색·운용할 수 있도록 공통 플랫폼을 구축했다.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99.7%는 바닷길을 통해 이뤄진다. 해양산업의 이익을 실현하는 데 기반이 되는 해양 데이터의 중요성이 다른 나라보다 더 큰 이유다. 원유 100%, 곡물 77% 등 실생활과 밀접한 주요 물자 대부분이 해상을 통해 수입된다. 해양 이익 수호는 국가의 생명선을 지키는 것과 같다. 해양 데이터의 플랫폼 구축을 통한 해양 성장동력 기반을 서둘러 조성해야 한다.

해양경찰은 2021년부터 방대한 해양 데이터를 수집·공유·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시작했다. 현재 총 45테라바이트(TB), 약 470억 건의 해양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얼핏 대량의 해양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일본이나 미국에 비해 한참 뒤처졌다. 해양경찰은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현장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고 다른 데이터와 융합·활용하는 단계로 발전시키고 있다. 국민 안전과 밀접한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에 공개하기 때문에 이용 활성화도 높은 편이다.

그러나 해양경찰 단독으로 해양 데이터를 수집·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해양 데이터 기반의 국민과의 상호 작용, 민간 및 정부 기관 간의 협업을 극대화해야 한다. 해양 치안분야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해양경찰의 빅데이터 플랫폼은 해양과 다양한 산업의 접목을 통해 해양 신산업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점점 증가하는 국민의 해양스포츠·레저 활동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시스템이기도 하다. 신(新)해양패권시대의 미래를 읽고 현재를 창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심점 역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