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아오른 자원 확보戰…'광물대국' 존재감 드러내는 몽골

입력 2023-07-28 18:22
수정 2023-08-27 03:09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세계 각국이 친환경 정책을 펼치면서 ‘광물 대국’ 몽골이 부상하고 있다. 몽골에는 구리, 우라늄 등 ‘녹색 전환’에 필수인 자원이 풍부하다. 몽골 정부는 광물 개발 사업에 외국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 경제 성장을 이룬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특히 서방 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부패 척결 등 투명성 제고를 위한 각종 개혁에 나섰다.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의 북동부에 있는 오유톨고이 광산은 최근 한창 개발 중이다. 호주 광산기업 리오틴토는 구리를 확보하기 위해 10년 전 몽골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인 50억달러(약 6조원)가량을 이 광산에 투자했다.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구리 광산인 이곳에서는 2030년이면 매년 약 50만t의 구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전기자동차 600만 대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7일(현지시간) “롭상남스라이 어용에르덴 몽골 총리는 친환경 전환 중인 서방 정부와 기업들이 몽골의 풍부한 광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길 원하고 있다”며 오유톨고이 광산을 대표 사례로 꼽았다. 오유톨고이 광산 프로젝트에서 몽골 정부는 34%의 지분을 갖고 있다. 향후 구리 채굴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몽골 정부 재정도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몽골 정부는 광물 자원 호황에 힘입어 지난해 150억달러였던 자국의 국내총생산(GDP)이 2030년까지 약 500억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몽골의 빈곤율도 현 수준보다 절반 이상 낮은 15%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과도한 경제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절실함도 몽골 정부가 서방의 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는 이유다. 중국은 몽골의 구리, 석탄 등 광물 자원 수출량의 84%를 점유하고 있다. 몽골의 전체 수입액에서는 러시아산 석유제품 등이 30%를 차지한다.

하지만 몽골 정부가 외국인 투자자를 사로잡기 위해 해결해야 할 숙제는 ‘산더미’라는 평가다.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몽골의 일당 독재 사회주의가 무너졌다. 이후 민주주의와 자유시장주의 체제가 도입되긴 했지만, 그 역사는 30여 년으로 짧다. 부정부패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고, 행정도 불투명하다는 불만이 나온다. 모두 서방 기업들이 몽골 투자를 꺼리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몽골은 작년 말에도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겪었다. 국영 석탄 기업과 정계 사이의 부패 연결고리가 드러나면서다. 올초 새로 부임한 리처드 부안강 주몽골 미국대사는 이에 관해 “변덕스럽고 투명하지 않으며, 예측할 수 없고 부패한 법과 규정 때문에 몽골이 투자자에게 매력적이지 않은 곳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

최근 몽골 정부는 사법 개혁에 나섰다. 불법 청탁 단속, 자원 산업 관련 정책 및 규정의 대대적인 정비도 진행 중이다. 어용에르덴 총리는 “우리의 주요 목표는 투명성 개선”이라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